반응형
코스피가 8월 1일 장중 약 3% 급락한 원인과 이를 바탕으로 한 단기 전망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급락 원인
1. 정부 세제개편안에 대한 실망
- 발표된 개편안에서 증권거래세는 0.20%로 환원, 대주주 양도소득세 대상 기준을 기존 50억 원에서 10억 원으로 강화되면서 투자자들의 기대가 크게 실망으로 이어짐
- 특히 배당소득 분리과세 요건이 강화되고, 일부 구간의 세율도 높아졌다는 점이 배당수익형 투자 매력을 훼손
2. 한·미 관세협상 영향 및 무역 리스크
- 한·미 간 관세협상이 타결되었지만, 자동차와 반도체 등 수출주에 대한 추가관세 리스크로 투자자 불확실성이 커짐
- 미국의 무역정책 변화 가능성이 여전히 해외 수출 업종에 부담으로 작용.
3. 원·달러 환율 상승과 외국인 자금 이탈
- 원·달러 환율이 장중 1,400원대까지 상승하며 급격한 외국인 매도세를 촉발
- 외국인 투자자들이 대규모 순매도하며 주가 하방 압력이 심화되었고, 기관도 같은 흐름을 보임.
전망 및 투자 관점
■ 단기적 전망
- 시장에서는 이번 조정장을 단기적인 조정 국면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합니다.
- 조정 하단은 3,000~2,900선, 조정 기간은 8~9월 중순까지로 예상됩니다
- 일부 전문가들은 이 시기를 매수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고 조언합니다
■ 중장기적 요인
- 금리인하 기대가 형성될 경우, 내년 말까지 반등 가능성이 열려 있음.
- 상법 개정안 추가 도입 기대(집중투표제·감사위원 제도 등)가 시장의 구조개선 기대감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 3분기 실적 개선, 외국인 수급 회복, 기업지배구조 개선, 이러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중장기 반등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코스피 급락은 정책 실망과 글로벌 리스크가 결합된 복합 충격의 결과입니다. 다만 단기 조정을 지나면 구조적 개선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신중한 전략이 요구되는 시점입니다.
마무리하며
이번 코스피 3% 급락은 정부 세제개편안에 대한 실망과 환율 급등, 외국인 자금 이탈 등 복합 요인이 작용한 결과로 보입니다.
단기적으로는 변동성이 이어질 수 있으나, 중장기적으로는 금리 인하 기대, 기업 실적 회복, 구조개혁 추진 등이 반등의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