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국내 최초 해안형 수목원, ‘새만금 테마파크’ 조성 현황 및 전망

기적 소리 2025. 6. 30. 11:29
728x90
반응형
국내 최초의 해안형 수목원을 품은 ‘새만금 테마파크’는 전북 김제·부안 일원에 조성 중인 대규모 복합생태관광지입니다.

주요 내용 및 현황

■ 해안형 수목원(국립새만금수목원)

150 ha 규모(1.51 ㎢)로, 염생·해안식물과 도서식물을 주제로 하는 전문 수목원입니다

맹그로브 생태숲, 해안식물 돔, 도서화원, 사구원 등이 구성되어 차별화된 생태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 환경생태단지 연계

0.79 ㎢ 1단계 구역은 이미 2021년 준공되었고, 2단계에서 기후대응숲·조류서식지·국제연구·체험시설 등을 조성 중입니다

2-1단계 사업은 3.57 ㎢ 부지에 국비 2,288 억원이 투입되는 핵심 사업입니다

■ 가든형 테마파크 전략

전북도와 관련 기관은 ‘자연 + 콘텐츠 융합’의 가든형 테마파크를 새만금의 핵심 관광 콘텐츠로 설정했습니다

테마파크에는 K-컬처와 관광산업을 접목한 스토리텔링 시설, 랜드마크 조성, 민간투자 유인책 등이 포함됩니다

■ 민간 테마파크 조성(챌린지 테마파크)

새만금 방조제 시점부엔 민간투자 1,443 억원 규모의 휴양 콘도, 빌라, 어린이 공연장, 대관람차 등을 포함한 ‘챌린지 테마파크’가 세워지며, 2027년 개장 목표입니다

기대 효과 & 과제

기대 효과
과제
해안 생태 서식지 보전 및 체험 학습 기회 제공
기반시설 연계 미흡 문제 해결 필요
K-컬처 등 문화 콘텐츠 접목으로 글로벌 관광 콘텐츠화
부지 공급 및 선투자 체계 정비 필수
생태·환경교육 및 연구 인프라 확충
중앙정부의 적극적인 행정·정책 지원 병행 요구

향후 일정

  • 2027년: 국립새만금수목원 개원 예정
  • 2026년 말∼2027년 상반기: 챌린지 테마파크 운영 개시 예상 i

마무리하며

새만금 테마파크는 국내 최초 해안형 수목원을 핵심으로 한 자연·문화·콘텐츠 융합형 관광지입니다.

생태 보전과 학습, K-컬처 체험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복합공간으로, 2027년까지 국립 수목원과 민간 테마파크가 순차적으로 개장될 예정입니다.

정부·지자체는 상징적 랜드마크 조성, 인프라 구축, 민간 유치 활성화를 통해 글로벌 생태관광 거점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입니다.

 

<참고>새만금 국립수목원 vs 새만금 테마파크

 
항목
국립새만금수목원
새만금 테마파크
성격
국가가 조성하는 공공 생태수목원
민관 합작의 복합 문화·관광 테마파크
위치
새만금 환경생태단지 내
새만금 방조제 시점부 및 인접지
면적
약 150ha (1.5㎢)
약 30만㎡ 이상 (단계별 개발)
핵심 콘텐츠
염생식물·해안식물 전시, 도서식물원, 해안사구 생태 체험
K-컬처 공연장, 대관람차, 테마 빌리지, 가든쇼 등
운영 주체
산림청 국립수목원 (국가기관)
민간기업 + 전북도·지자체
개장 예정
2027년 상반기
2026년 말~2027년 순차 개장
목적
해안형 생태계 보전 및 교육·연구
관광산업 활성화 및 문화 콘텐츠 소비 확산
입장료
무료 또는 공공요금 수준 예상
유료(공연, 숙박, 체험시설 등 민간요금 기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