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내용 및 현황
■ 해안형 수목원(국립새만금수목원)
150 ha 규모(1.51 ㎢)로, 염생·해안식물과 도서식물을 주제로 하는 전문 수목원입니다
맹그로브 생태숲, 해안식물 돔, 도서화원, 사구원 등이 구성되어 차별화된 생태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 환경생태단지 연계
0.79 ㎢ 1단계 구역은 이미 2021년 준공되었고, 2단계에서 기후대응숲·조류서식지·국제연구·체험시설 등을 조성 중입니다
2-1단계 사업은 3.57 ㎢ 부지에 국비 2,288 억원이 투입되는 핵심 사업입니다
■ 가든형 테마파크 전략
전북도와 관련 기관은 ‘자연 + 콘텐츠 융합’의 가든형 테마파크를 새만금의 핵심 관광 콘텐츠로 설정했습니다
테마파크에는 K-컬처와 관광산업을 접목한 스토리텔링 시설, 랜드마크 조성, 민간투자 유인책 등이 포함됩니다
■ 민간 테마파크 조성(챌린지 테마파크)
새만금 방조제 시점부엔 민간투자 1,443 억원 규모의 휴양 콘도, 빌라, 어린이 공연장, 대관람차 등을 포함한 ‘챌린지 테마파크’가 세워지며, 2027년 개장 목표입니다

기대 효과 & 과제
기대 효과
|
과제
|
해안 생태 서식지 보전 및 체험 학습 기회 제공
|
기반시설 연계 미흡 문제 해결 필요
|
K-컬처 등 문화 콘텐츠 접목으로 글로벌 관광 콘텐츠화
|
부지 공급 및 선투자 체계 정비 필수
|
생태·환경교육 및 연구 인프라 확충
|
중앙정부의 적극적인 행정·정책 지원 병행 요구
|
향후 일정
- 2027년: 국립새만금수목원 개원 예정
- 2026년 말∼2027년 상반기: 챌린지 테마파크 운영 개시 예상 i
마무리하며
새만금 테마파크는 국내 최초 해안형 수목원을 핵심으로 한 자연·문화·콘텐츠 융합형 관광지입니다.
생태 보전과 학습, K-컬처 체험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복합공간으로, 2027년까지 국립 수목원과 민간 테마파크가 순차적으로 개장될 예정입니다.
정부·지자체는 상징적 랜드마크 조성, 인프라 구축, 민간 유치 활성화를 통해 글로벌 생태관광 거점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입니다.
<참고>새만금 국립수목원 vs 새만금 테마파크
항목
|
국립새만금수목원
|
새만금 테마파크
|
성격
|
국가가 조성하는 공공 생태수목원
|
민관 합작의 복합 문화·관광 테마파크
|
위치
|
새만금 환경생태단지 내
|
새만금 방조제 시점부 및 인접지
|
면적
|
약 150ha (1.5㎢)
|
약 30만㎡ 이상 (단계별 개발)
|
핵심 콘텐츠
|
염생식물·해안식물 전시, 도서식물원, 해안사구 생태 체험
|
K-컬처 공연장, 대관람차, 테마 빌리지, 가든쇼 등
|
운영 주체
|
산림청 국립수목원 (국가기관)
|
민간기업 + 전북도·지자체
|
개장 예정
|
2027년 상반기
|
2026년 말~2027년 순차 개장
|
목적
|
해안형 생태계 보전 및 교육·연구
|
관광산업 활성화 및 문화 콘텐츠 소비 확산
|
입장료
|
무료 또는 공공요금 수준 예상
|
유료(공연, 숙박, 체험시설 등 민간요금 기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