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레벨 4' 자율주행 서비스 특징, 활용사례 : 레벨 3·4·5 비교

기적 소리 2025. 8. 17. 13:13
반응형
 

레벨 4(Level 4) 자율주행 서비스는 국제자동차기술학회(SAE)에서 정의한 자율주행 단계 중 하나로, 특정 조건(지정된 구역, 도로, 기상 조건 등)에서 차량이 완전히 스스로 주행을 수행할 수 있는 단계를 의미합니다.

사람이 탑승하고 있어도 개입할 필요가 없으며, 시스템이 스스로 모든 주행 상황을 처리합니다.

상암동 4단계 자율주행 차량의 내부와 외부에 설치된 비상정지스위치 ©라이드플럭스

 

주요 특징

조건부 완전 자율주행

  • 특정한 운영설계영역(ODD, Operational Design Domain) 안에서만 100% 자율주행 가능
  • 고속도로, 도심 일부 구역, 정해진 셔틀 노선 등에서 구현

운전자 개입 불필요

  • 레벨 3와 달리, 차량이 모든 상황을 처리하므로 사람이 백업 운전할 필요 없음
  • 사고 발생 시에도 책임은 운전자보다는 차량 시스템/운영자에게 있음(법제화 논의 필요)

서비스 형태

  • 로보택시(Robotaxi) : 무인 호출 택시 서비스
  • 자율주행 셔틀 : 정해진 노선에서 승객을 수송
  • 물류·배송 차량 : 라스트마일(Last-mile) 배송이나 물류 이동에 활용

현재 활용 사례

  • Waymo(웨이모, 미국): 피닉스와 샌프란시스코 등 일부 지역에서 로보택시 서비스 상용화
  • Cruise(크루즈, GM 자회사): 미국 도시에서 무인 로보택시 시범 운영(최근 안전 문제로 일부 중단)
  • 중국 바이두·AutoX: 베이징, 선전 등에서 자율주행 택시 서비스 운영
  • 한국: 세종시, 판교 등에서 자율주행 셔틀 및 택시 시범 서비스 진행 중

자율주행차량의 센서와 데이터 흐름도 ©한국교통안전공단

시사점

레벨 4 자율주행 서비스는 교통사고 감소, 이동 약자 지원, 교통 효율성 개선 등의 장점을 제공하지만,

  • 법적 책임 소재
  • 안전성 검증
  • 사회적 수용성
  • 인프라 구축 비용

등이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힙니다.

<참고1>🚗 자율주행 단계 비교 (SAE 기준)

 
구분
레벨 3 (조건부 자동화)
레벨 4 (고도 자동화)
레벨 5 (완전 자동화)
운전자 역할
필요 시 개입
필요 없음 (조건부)
전혀 필요 없음
운행 가능 범위 (ODD)
제한적 (고속도로 등)
특정 구역·조건 내 완전 자율
어디서나, 조건 무관
핵심 특징
- 차량이 대부분 주행 처리
- 긴급 상황에서 운전자 개입 필요
- 지정된 영역에서는 운전 전담
- 탑승자는 단순 승객
- 전 구간/환경에서 차량이 모든 상황 처리
책임 소재
사고 시 운전자 책임
시스템/운영자 책임 (법적 논의 진행 중)
차량 시스템 전담
대표 서비스 사례
- 메르세데스 벤츠 S클래스(독일 일부)
- 혼다 레전드(일본)
- Waymo 로보택시 (미국)
- 바이두 Apollo Go (중국)
- 세종시 자율주행 셔틀(한국)
- 아직 상용화 사례 없음 (연구·실험 단계)
서비스 형태
고속도로 주행 보조, 트래픽잼 어시스트
로보택시, 셔틀, 물류배송
개인차, 대중교통 등 전면 자율
현실성/상용화 수준
제한적 상용화 (일부 국가)
일부 도시에서 상용 서비스 시작
미래 목표 (10년 이상 예상)

✅ 정리

  • 레벨 3: 운전자가 언제든 개입해야 할 수 있어 ‘반자동화’ 성격.
  • 레벨 4: 특정 조건 안에서는 완전 무인 서비스 가능 → 현재 로보택시·셔틀이 이 단계.
  • 레벨 5: 진정한 의미의 운전대 없는 차, 하지만 아직 기술·법제·인프라 모두 미완성.

<참고2> 자율주행 단계 분류

자율주행
단계
명칭
내용
0단계
비자동
자율주행과 관련된 기술을 적용하지 않은 일반 차량
1단계
운전자
보조
방향, 속도제어, 차선이탈 방지, 긴급 제동장치, 크루즈컨트롤 등 특정 기능의 자동화가 진행된 단계. 운전자는 차의 속도와 방향을 항상 통제해야 함
2단계
부분
자동화
단편적인 자율주행 가능, 고속도로와 같이 정해진 조건에서 차량·차선 인식, 앞차와의 간격 유지 기능 등 자율주행 기능이 두 가지 이상 동시 작동 가능. 운전자는 항상 주변 상황을 주시해야 함
3단계
조건부
자동화
일정 구간 자율주행이 가능하며, 운전의 주도권이 운전자가 아닌 자동차에 있음. 도로환경, 교통상황, 장애물 위치 등을 자동차가 스스로 모니터링하며 운행하고 운전자는 돌발상황에 대비함
4단계
고도
자동화
자율주행의 조건을 갖춘 특정 도로에서 모든 안전제어가 가능. 그 외 도로에서는 운전자가 주행에 개입해야 함
5단계
완전
자동화
운전자의 개입 없이 자동차 스스로 목적지까지 운행하고, 주차 등 차량 이동에 관한 모든 기능이 완전 자동화되어 운전자나 운전석이 없어도 되는 단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