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청국장은 발효된 콩으로 만든 전통 발효식품으로, 혈당지수(GI)와 당뇨병과의 관계에 있어 매우 주목할 만한 식품입니다. 청국장, 낫또, 된장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청국장 혈당지수 (GI)
- 혈당지수(GI): 약 30~35
→ 낮은 혈당지수(Low GI) 식품
→ 혈당을 천천히 올려 당뇨병 관리에 유리
청국장과 당뇨병의 관계
항목
|
설명
|
단백질 풍부
|
콩 단백질이 인슐린 민감도를 개선함
|
식이섬유 함량
|
수용성 및 불용성 식이섬유가 혈당 상승 억제
|
발효 효과
|
발효과정에서 생성되는 **바실러스균(Bacillus subtilis)**은 장내 미생물 개선에 도움
|
이소플라본
|
콩 속 이소플라본은 인슐린 저항성 개선에 기여
|
포만감 제공
|
고단백 식품으로 식후 포만감을 높여 과식 방지
|

주의할 점
- 염분 함량: 일부 시판 청국장은 소금 함량이 높을 수 있음 → 고혈압이나 당뇨 합병증 있는 경우 조절 필요
- 밥과 함께 섭취 시: 흰쌀밥과 함께 먹을 경우 전체 식사의 혈당 부하(GL)는 높아질 수 있음 → 현미밥이나 잡곡밥과 함께 섭취 추천
마무리하며
청국장은 낮은 혈당지수와 함께 당뇨병 예방 및 관리에 도움을 주는 식품입니다. 단백질, 식이섬유, 유익균 등이 풍부해 혈당 안정화와 인슐린 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다만, 염분 관리와 함께 밥의 종류와 양을 조절하여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참고> 청국장·낫또· 된장 비교
항목
|
청국장 |
낫또 (일본식 발효콩)
|
된장
|
혈당지수 (GI)
|
30~35 (낮음)
|
30~35 (낮음)
|
30~40 (낮음)
|
단백질
|
풍부
|
매우 풍부
|
중간
|
식이섬유
|
풍부
|
풍부
|
적은 편
|
발효균 종류
|
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균)
|
Bacillus subtilis var. natto
|
Aspergillus oryzae (누룩곰팡이)
|
혈당 상승 억제
|
◎
|
◎
|
○
|
인슐린 저항성 개선
|
◎ (이소플라본, 단백질)
|
◎ (이소플라본, 폴리글루탐산)
|
△ (염분이 높아 주의)
|
염분 함량
|
보통 (조절 가능)
|
낮음
|
높음 (주의)
|
기타 특징
|
고소한 맛, 장 건강에 도움
|
끈적임과 냄새, 비타민 K2 풍부
|
국이나 찌개로 사용, 짠맛 강함
|
※당뇨 관리 팁
- 청국장과 낫또는 혈당지수가 낮고, 발효된 콩 단백질과 유익균,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혈당 조절과 인슐린 민감도 향상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 된장은 조리법에 따라 염분 섭취가 많아질 수 있어 섭취량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