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역축제에 섭외되는 유명가수들의 출연료(개런티)는 가수의 인지도, 활동 시기, 무대 규모, 방송 출연 여부, 공연시간, 동반 인원(댄서, 밴드)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아래는 2024~2025년 기준으로 추정되는 출연료 범위입니다 (VAT 별도, 일반적인 지역자치단체 기준)

지역축제 출연 가수 개런티 (추정)
가수 유형
|
대표 예시
|
1회 출연료 (약)
|
최상위급 아이돌
|
BTS 제이홉(개인), 지드래곤, 아이유, 임영웅 등
|
7,000만~1억 5,000만 원
|
상위 인기 가수
|
싸이, 장윤정, 김범수, 이찬원, 뉴진스 등
|
3,000만~7,000만 원
|
중견 인기 가수
|
홍진영, 송가인, 에일리, 박현빈 등
|
1,500만~3,000만 원
|
신예 또는 인디 인기팀
|
멜로망스, 10cm, 브로콜리너마저 등
|
500만~1,500만 원
|
트로트 경연 출신
|
미스터트롯·미스트롯 TOP10
|
1,000만~2,500만 원
|
비주류·옛 가수 리바이벌
|
코요태, 김연자, 설운도, DJ DOC 등
|
1,000만~2,000만 원
|
행사 전문 가수
|
지역 행사 자주 나오는 가수
|
300만~1,000만 원
|

참고 사항
- 밴드형 가수나 댄서 동반 시 인원 수에 따라 추가 비용이 붙습니다.
- 유명 가수는 현장 리허설비, 숙박, 교통비까지 조건에 넣기도 합니다.
- 인기 트로트 가수나 방송 출연 직후 가수는 단기간 출연료가 폭등하기도 합니다.
- 자치단체는 통상 출연료 공개를 꺼려하지만, 일부 지자체는 정보공개청구로 확인된 사례도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지역축제에서 유명 가수를 섭외하는 것은 축제의 흥행과 관심도를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하지만, 그에 따른 출연료 부담도 만만치 않습니다.
특히 최상위급 가수들의 경우 수천만 원에서 억대에 이르는 출연료가 요구되며, 공연 시간, 동반 인원, 장비 등 추가 조건도 많습니다.
때문에 자치단체는 예산의 효율적 사용과 지역민의 문화 향유 기회를 균형 있게 고려해야 하며, 지나친 스타 마케팅보다는 지역 정체성과 콘텐츠의 내실을 다지는 방향도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