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아파트 가격] 지방 아파트 가격 어떻게 될까? 지역별 미분양 아파트 현황과 아파트 시장 전망

기적 소리 2025. 3. 10. 08:32

 

1. 개요

아파트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의 하나는 미분양 주택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최근 국내 미분양 주택 수는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4년 12월 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 수는 70,173호로 전월 대비 12.2% 증가하였습니다.



2. 지역별 미분양 주택 동향

1) 수도권 : 16,997호로 전월 대비 17.3% 증가하였습니다.

   ■ 서울: 26호 증가 (2.8% 증가)
   ■ 인천: 44호 증가 (1.4% 증가)
   ■ 경기: 2,433호 증가 (23.1% 증가)


2) 비수도권 : 53,176호로 전월 대비 5.0% 증가하였습니다.

   ■ 경북: 866호 증가 (63.2% 증가)
   ■ 대구: 862호 증가 (47.6% 증가)
   ■ 제주: 408호 증가 (30.5% 증가)


국토교통부의 '미분양주택현황보고'에 따르면, 2025년 1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 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러한 수치는 지역별 부동산 시장 상황을 반영하며, 특히 대구광역시와 경상남도에서 미분양 주택 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는 해당 지역의 주택 공급 과잉 또는 수요 부족 등의 요인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3. 준공 후 미분양 주택 동향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며, 2024년 12월 말 기준 21,480호로 전월 대비 15.2% 증가하였습니다. 이 중 비수도권이 79.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1) 준공 후 미분양 주택 현황

최근 국내 준공 후 미분양 주택 수는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5년 1월 말 기준, 전국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2,872가구로, 이는 전월 대비 6.5% 증가한 수치이며, 2013년 10월 이후 11년 3개월 만에 최대치입니다.

2) 지역별 준공 후 미분양 주택

수도권: 총 4,446가구로, 전월 대비 4.6% 증가하였습니다.

지방: 총 18,426가구로, 전월 대비 6.9% 증가하였으며, 전체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구는 3,075가구로 전월 대비 47% 증가하며 전국에서 가장 많은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3) 준공 후 미분양 주택에 대한 대책

전문가들은 지방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 증가가 지역 경제와 부동산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LH)를 통해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을 매입하는 등의 대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가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합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지방 부동산 시장의 안정화를 위해서는 지역 경제 활성화, 인구 유입 정책, 주택 공급 조절 등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합니다.

 

4. 지방 아파트 가격 전망

최근 지방 아파트 시장은 지역별로 상이한 변동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2024년 12월 기준 주택 매매가격 변동률을 살펴보면, 대구는 -0.40%, 인천 -0.27%, 세종 -0.22%, 부산 -0.18% 등으로 일부 지역에서 가격 하락이 두드러집니다.

전문가들은 지방 아파트 가격 하락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특히, 완공된 아파트조차 판매되지 않는 상황이 이어지며, 이는 지방 부동산 시장의 위기를 심화시키고 있습니다.  반면, 수도권 주택가격은 1.0% 상승하는 강보합세를 보이는 반면, 지방은 2.0% 하락할 것이란 전망도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지방 아파트 시장의 회복을 위해서는 지역 경제 활성화, 인구 유입 정책, 주택 공급 조절 등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