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태양광 전기차 스타트업 앱테라(Aptera)가 생산용 검증 차량 1차 테스트를 모하비 사막에서 진행했다고 자동차 매체 일렉트렉이 보도하면서 태양광 전기차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고 있습니다.
현황과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정리해 보게습니다.

1. 태양광 전기차 현황
① 태양광 전기차란?
태양광 전기차(Solar Electric Vehicle, SEV)는 태양광 패널을 차량에 장착하여 태양 에너지를 전기로 변환,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의 전기차입니다.
현재 태양광 전기차는 완전한 태양광 충전만으로 주행하는 것은 어렵지만, 추가적인 주행거리를 확보하는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② 주요 기업 및 모델
- Lightyear 0 (라이트이어 0) (네덜란드)
세계 최초 상용 태양광 전기차 (2022년 출시, 2023년 단종)
태양광 패널을 통해 하루 최대 70km 충전 가능
높은 가격(약 3억 원대)과 생산 비용 문제로 중단
- Lightyear 2 (라이트이어 2) (네덜란드)
2025년 출시 예정
가격이 4~5만 달러 수준으로 낮아질 전망
1회 충전 주행거리 약 800km
- Aptera (압테라) (미국)
삼륜 전기차, 태양광만으로 하루 최대 64km 주행 가능
경량화 설계로 에너지 효율 극대화
- Sono Sion (소노 사일온) (독일)
차체 전체에 태양광 패널 적용 (총 248개)
하루 최대 35km 태양광 충전 가능
가격 약 2,500만 원대, 2024년 출시 예정
- Hyundai & Tesla
현대차: 아이오닉 5에 태양광 루프 옵션 제공 (연간 약 1,500km 주행 가능)
테슬라: 사이버트럭에 태양광 패널 장착 가능성 언급
2. 전망 및 과제
① 기술적 발전 가능성
태양광 패널 효율 증가 (현재 20~40% 기대)
배터리 기술 발전으로 태양광 충전 효과 극대화
차량 경량화 및 에어로다이내믹 디자인 적용
② 시장 전망
초기에는 틈새시장(Niche Market)으로 제한될 가능성이 크지만, 지속적인 기술 발전과 원가 절감이 이루어지면 대중화 가능
2030년까지 태양광 전기차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
③ 해결 과제
충전 속도와 효율성 문제: 현재 태양광 패널 효율이 낮아 실질적인 충전량이 제한적
비용 문제: 태양광 패널과 관련 기술의 고비용 문제 해결 필요
기후 조건: 일조량이 부족한 지역에서는 활용도가 낮음
3. 결론
태양광 전기차는 친환경 이동 수단으로서 가능성을 지니고 있지만, 현재 기술적 한계와 경제적 문제로 인해 완전한 태양광 차량으로의 전환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향후 배터리 기술과 태양광 패널 효율이 개선되면 더 널리 보급될 가능성이 큽니다.
<참고> 태양광 전기차 주요 구성 요소
태양광 전기차(솔라 전기차)는 태양광 패널을 활용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이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차량입니다.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태양광 발전 시스템
태양광 패널: 차량 표면(지붕, 보닛, 트렁크 등)에 부착되어 태양광을 전기로 변환합니다.
MPPT(최대 전력 점 추적) 컨트롤러: 태양광 패널에서 생성된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최적의 출력이 나올 수 있도록 조절합니다.
2. 배터리 시스템
고전압 배터리(리튬이온, LFP 등): 태양광 패널과 충전기를 통해 전력을 저장하고 모터에 전력을 공급합니다.
BMS(배터리 관리 시스템): 배터리의 전압, 온도, 충·방전을 관리하여 안전성과 수명을 연장합니다.
3. 전기 구동 시스템
전기 모터: 저장된 전력을 이용하여 차량을 구동합니다.
인버터: 배터리의 직류(DC) 전력을 교류(AC)로 변환하여 모터에 공급합니다.
감속기(트랜스미션): 모터에서 생성된 동력을 바퀴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4. 충전 시스템
태양광 충전 시스템: 태양광 패널에서 생산한 전력을 배터리에 저장합니다.
외부 충전 포트: 일반 전기차처럼 외부 전원(AC, DC 충전기)으로도 충전이 가능합니다.
5. 제어 및 관리 시스템
차량 제어 유닛(VCU): 주행, 충전, 배터리 관리 등 전체적인 시스템을 통합적으로 제어합니다.
에너지 관리 시스템(EMS): 태양광 발전, 배터리 충·방전, 주행 효율을 최적화합니다.
6. 차체 및 공기역학 설계
초경량 차체: 효율적인 주행을 위해 탄소섬유, 알루미늄 등의 가벼운 소재를 사용합니다.
공기역학적 디자인: 공기저항을 최소화하여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합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이 조화롭게 작동하여 태양광 전기차의 효율적인 구동과 에너지 활용을 가능하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