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마트 약물 운반차' 약물전달 플랫폼 개발 췌장암 치료 성과 제고

기적 소리 2025. 6. 12. 10:41
반응형
 
국내 연구팀이 '스마트 약물 운반차'라 불리는 표적화·정밀 약물 전달 플랫폼을 개발해 췌장암 치료 성과를 크게 높였습니다.

주요 내용

  • 타깃 단백질: 췌장암 세포에 과발현되는 **메소텔린(Mesothelin, MSLN)**을 표적으로 활용 .
  • 나노바디 기반 표지자: 낙타나 라마 항체에서 유래한 초소형 항체인 ‘D3 나노바디’를 개발해 메소텔린에 선택적으로 결합 .
  • 스마트 운반체 구조: D3 나노바디에 지질 나노입자(LNP)를 결합하고 항암제 **젬시타빈(Gemcitabine)**을 탑재 → ‘D3‑LNP‑GEM’ 완성 .
  • 효능 시험: 췌장암 생쥐 모델에서 암세포 성장을 80% 이상 억제, 정상 조직에 대한 부작용은 거의 없는 안전성 확인

왜 중요한가?

  • 췌장암은 조기 진단이 어려워 치료가 어려운 '침묵의 살인자'입니다. 5년 생존율이 10% 미만일 만큼 악명이 높지요 .
  • 기존 항암제는 정상세포까지 공격해 부작용이 크고 효과도 한계가 있었지만, 이번 플랫폼은 암세포만 정확히 타격해 효능은 끌어올리면서 부작용은 최소화하였습니다.

추가 사례: 스마트 전달 시스템들

  • pH‑반응형 나노입자: 암 조직의 산성 환경에서 약물 방출하는 기술 .
  • 기능성 금 나노케이지: 광열·광민감성 자극으로 약물을 제어 방출하는 플랫폼 .
  • 엑소좀 기반 전달체: 면역반응 조절하며 항암제·siRNA 동시 전달 .
  • 자기장 유도 전달체: 자석으로 약물 운반체 위치 조절 가능 .

결론 및 전망

  1. D3‑LNP‑GEM 플랫폼은 췌장암 세포만 타겟팅해, 기존 치료법보다 효과·안전성 모두 크게 개선됨.
  2. 향후 임상시험 단계로 진입 가능성이 높으며, 다른 암에도 동일 타겟팅 전략 적용 가능.
  3. 더 빠르고, 안전한 췌장암 치료의 새 지평을 열 수 있는 기술로 기대됩니다.

참고

  • 국내 조선일보, 아시아경제, 헤럴드경제 등 주요 언론 “스마트 약물 운반차” 개발 보도 .
  • 메타 리뷰 및 논문: 암 면역 조절용 스마트 플랫폼, 약물 전달 전략 전반 검토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