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누룽지의 혈당지수(GI)와 당뇨와의 관계를 아래와 같이 정리해 드릴게요.
누룽지는 당질 위주로 구성된 식품이라 혈당을 빠르게 올립니다. 서울대와 가천대 식품영양학과 공동 연구팀이 한국인 상용 식품의 혈당지수 추정치를 산정한 결과, 누룽지의 혈당지수는 72로 추정됐습니다.

1. 누룽지의 혈당지수(GI)
- 누룽지(GI 추정치): 약 80~90
- 쌀을 고온으로 눌러 구운 형태이므로, 소화흡수가 빠르고 GI가 높음
- 일반적인 흰쌀밥(GI 약 70)보다 더 높을 수 있음
2. 혈당지수가 높은 이유
- 누릉지는 전분이 열에 의해 분해되어, 더 쉽게 당으로 전환됨
- 고온에서 바삭하게 눌린 누릉지는 소화효소에 잘 반응하는 형태로 바뀜 → 혈당이 빠르게 상승
3. 당뇨와의 관계
항목
|
설명
|
당뇨환자에 미치는 영향
|
혈당을 급격히 올릴 수 있어 주의 필요
|
적절한 섭취량
|
소량 섭취 가능하나, 한 끼 대용으로는 부적절
|
섭취 팁
|
단백질(계란, 콩 등), 식이섬유(야채)와 함께 먹으면 혈당 상승 억제 가능
|
대체 음식
|
GI가 낮은 잡곡밥, 귀리, 현미밥 등이 더 바람직
|
결론
- 누룽지는 혈당지수가 높은 음식으로 분류되며, 당뇨 환자나 혈당 조절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 만약 먹고 싶다면, 소량만 섭취하고 단백질·식이섬유와 함께 섭취해 혈당 급상승을 완화해야 합니다.
누룽지 (백미 누룽지 100g 기준) 영양성분
누릉지(누룽지)의 영양성분은 주로 사용된 쌀의 종류(백미/현미/잡곡 등)에 따라 다르지만, 백미로 만든 전통 누릉지 기준으로 대표적인 성분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영양소
|
함량 (100g 기준)
|
비고
|
열량
|
약 380~400 kcal
|
밥보다 열량 높음 (수분 적음)
|
탄수화물
|
약 85g
|
주성분 (전분)
|
당류
|
약 0.5g 이하
|
단맛 거의 없음
|
단백질
|
약 6~7g
|
쌀 단백질
|
지방
|
약 0.5~1g
|
매우 적음
|
식이섬유
|
약 1g
|
백미 기준, 현미 누릉지는 더 많음
|
나트륨
|
거의 없음 (0~5mg)
|
간을 하지 않기 때문
|
칼슘
|
약 10mg
|
미량
|
철분
|
약 0.5mg
|
미량
|
참고 사항
- 현미나 잡곡 누룽지는 식이섬유, 미네랄, 비타민 B군 함량이 높아 혈당지수도 낮고 건강에 더 유리
- 백미 누릉지는 소화는 빠르나, 혈당 급상승 우려
- 시중 누릉지 과자 형태는 기름·소금 등이 추가되어 영양 성분이 달라질 수 있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