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해상풍력발전의 밸류체인(Value Chain)은 크게 개발 → 건설 → 운영/유지보수 → 폐기/재활용의 전 주기를 포함하며, 각 단계에는 다양한 산업 및 기업이 참여합니다.

🔷 1. 사업개발 단계
주요 활동
|
설명
|
주요 참여자
|
입지 조사
|
해양 기상, 수심, 지질, 어업·환경 영향 등 분석
|
해양조사기관, 엔지니어링 기업
|
인허가
|
발전사업허가, 개발행위허가, 환경영향평가, 어업협상 등
|
정부, 지자체, 환경 컨설팅 업체
|
수익성 분석
|
LCOE(균등화발전단가), REC, 전력판매계약 등
|
디벨로퍼, 투자자, 컨설팅 회사
|
금융조달
|
자기자본,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등 구조화
|
은행, 투자기관, 금융자문
|
🔷 2. 설계 및 제조 단계
주요 활동
|
설명
|
주요 참여자
|
설계
|
터빈, 구조물, 전기설비 등 상세 설계
|
EPC 업체, 설계전문사
|
터빈 제조
|
블레이드, 나셀, 타워 등 구성품 생산
|
Siemens Gamesa, Vestas, GE 등
|
하부구조물 제작
|
고정식(자켓/모노파일), 부유식(반잠수식 등)
|
조선사, 중공업사
|
해저케이블
|
송전용 해저케이블 설계 및 생산
|
LS전선, Nexans, Prysmian 등
|

🔷 3. 설치 및 건설 단계
주요 활동
|
설명
|
주요 참여자
|
기초 구조물 설치
|
해상 시공 (파일 박기, 자켓 설치 등)
|
해양건설사, 크레인선 운영사
|
터빈 조립 및 설치
|
블레이드-나셀-타워 설치
|
풍력 전문 설치업체
|
송전설비 구축
|
변전소, 해저케이블, 육상 연계설비 설치
|
전력기기 기업, 시공사
|
시운전
|
초기 전력 생산 테스트 및 조정
|
EPC, 운영사
|

한화오션, 해상풍력 설치선
🔷 4. 운영 및 유지보수(O&M)
주요 활동
|
설명
|
주요 참여자
|
모니터링
|
SCADA 시스템 통한 실시간 상태 관리
|
ICT 기업, 운영사
|
정기 점검
|
블레이드, 기어박스, 구조물 점검 및 수리
|
유지보수 전문기업
|
접근 수단
|
해상 유지보수 선박, 헬리콥터 등 활용
|
해양 서비스 기업
|
🔷 5. 폐기 및 재활용
주요 활동
|
설명
|
주요 참여자
|
해체 계획
|
20~25년 설비 수명 종료 후 해체
|
EPC, 조선사
|
자원 재활용
|
금속, 케이블, 콘크리트 등 분리 회수
|
재활용 전문업체
|
<참고> 밸류체인 관련 산업별 주요 기업 예시 (국내 중심)
산업 분야
|
주요 기업 (국내)
|
터빈 제작
|
두산에너빌리티
|
해저케이블
|
LS전선
|
하부구조물
|
현대중공업, 삼강엠앤티
|
해상 시공
|
SK에코플랜트, 대우건설, 코오롱글로벌
|
유지보수
|
한화시스템, 씨에스윈드
|
개발·금융
|
한국전력, 중부발전, 한화에너지, 해양에너지 투자사 등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