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디캠프를 통해 성공한 스타트업(창업기업) 사례 : 마켓컬리, 왓챠 등

기적 소리 2025. 3. 26. 04:14

디캠프(D.CAMP)는 2012년에 국민은행 신한은행 등 18개 은행들이 공동으로 출자하여 스타트업 지원을 목적으로 설립한 비영리기관입니다.

디캠프의 피칭 무대나 배치, 입주 프로그램을 통해 초기 도약 기회를 확보했고,
디캠프의 투자 연계와 멘토링, 그리고 신뢰받는 스타트업 허브라는 브랜드를 발판 삼아 빠르게 성장해온 기업들을 알아 보았습니다

1. 마켓컬리 (Kurly)


1) 디캠프 연결 경로: D.DAY 피칭 프로그램 참가
2) 당시 단계: 시드 단계
3) 디캠프 역할:
D.DAY를 통해 초기 투자자 및 VC와의 연결 계기
브랜드 인지도 확산 (언론·투자 업계 노출)
4) 성과:
국내 최초로 ‘새벽배송’ 개념 확립
누적 투자금 약 1조 원 이상 유치
유니콘 기업 등극 (2021년 기준 기업가치 4조 원 이상 평가)
상장 준비 → ESG 경영 강화

2. 왓챠 (Watcha)


1) 디캠프 연결 경로: D.DAY 참가
2) 당시 단계: 서비스 초기 버전 출시 후
3) 디캠프 역할:
초기 투자자와의 연결
제품 피드백과 B2C 전략 관련 멘토링
3) 성과:
왓챠피디아(영화 추천 기반 커뮤니티) → OTT ‘왓챠’로 확장
누적 투자금 약 500억 원 이상
일본·대만 등 해외 시장 진출

3. 클래스101


1) 디캠프 연결 경로: D.DAY 통해 피칭
2) 당시 단계: MVP 버전 운영
3) 디캠프 역할:
초기 시장 피드백
창업자 인적 네트워크 연결
4) 성과:
온라인 클래스 시장 개척
누적 투자금 700억 원 이상
한국 및 미국 등 글로벌 서비스 확장

4. 리디 (리디북스)


1) 디캠프 연결 경로: 초기 입주 스타트업
2) 당시 단계: 전자책 플랫폼 막 성장 중
3) 디캠프 역할:
공간 지원
법률/회계 자문, 초기 네트워크 확보
4) 성과:
전자책 시장 1위 → 웹툰/웹소설 IP까지 확장
누적 투자금 1000억 원 이상
‘리디셀렉트’, ‘만화뷰어’ 등 부가 서비스 확장

5. 뤼이드 (Riiid)


1) 디캠프 연결 경로: D.DAY 우승 기업
2) 당시 단계: AI 기반 토익 학습앱 ‘산타토익’ MVP
3) 디캠프 역할:
AI 교육 기술에 대한 VC 연결 및 기술 검증
글로벌 진출 전략 자문
4) 성과:
누적 투자 800억 원 이상
미국·일본 등 교육시장 진출
교육 AI 글로벌 선도 기업으로 성장

<참고1>  디캠프(D.CAMP) 현황


디캠프는 2012년 설립 이후 스타트업 생태계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지원과 투자를 진행해 왔습니다.

2024년 10월 기준으로, 디캠프의 전체 운용자산(AUM)은 약 8,431억원에 이르며, 이는 국내 벤처캐피털(VC) 246개사 중 18위에 해당하는 규모입니다.

디캠프는 그동안 직접투자와 펀드 출자를 통해 스타트업 지원을 확대해 왔습니다. 특히, 직접투자 기업 146개 중 절반 이상이 후속 투자를 유치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2024년 10월, 디캠프는 '디캠프 2.0 비전'을 선포하며, 스타트업당 최대 투자 규모를 기존 3억 원에서 15억 원으로 확대하고, '디캠프 배치' 프로그램을 통해 분기별로 유망 스타트업을 선발하여 집중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디캠프는 국내 스타트업의 성장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참고2>  디캠프 배치(Batch)란?


디캠프가 선발한 스타트업들을 집중 육성하기 위해 일정기간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에 가까운 성격의 기수제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현재 2기까지 선발되어 진행되고 있고, 3기는 2025.3.4까지 모집할 예정입니다.

1. 디캠프 ‘배치’의 핵심 특징

기간제 운영: 보통 몇 주에서 몇 달 동안 운영
공간 제공: 디캠프 공유 오피스 입주 (서울 선릉 등지)
집중 지원:
멘토링, 사업 전략, 투자 유치 준비
네트워킹, 법률·회계 자문, 홍보 기회 등
데모데이(D.DAY) 참가 기회: 배치에 참여한 팀은 디캠프의 대표 피칭 행사인 D.DAY에 참가하거나 우선 추천될 수 있음

2. 선발 기준

팀의 비전과 기술력
시장성, 실행력
초기 단계 스타트업부터 시리즈 A 수준까지 다양

3. 목적

단기간에 팀의 사업을 빠르게 성장시키는 것
투자 유치 준비 또는 제품/서비스 론칭에 초점을 맞추는 경우도 많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