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데이터 분석 관련 자격증 응시자 급증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데이터분석 전문가, 빅데이터분석기사

기적 소리 2025. 8. 1. 13:57
반응형
 
데이터 분석 관련 자격증 응시자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특히 한국에서는 그 인기가 매우 뜨겁습니다.

폭발적인 증가

대표적인 데이터 분석 자격증인 데이터분석 준전문가(ADsP)의 경우, 2014년 1,404명이었던 접수자 수가 2023년 기준 72,502명으로 10년 만에 5064% 증가했습니다. 이는 데이터 관련 직무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얼마나 커졌는지 보여주는 단적인 예입니다.

직장인 응시자 증가

단순히 취업 준비생뿐만 아니라, 기존 직장인들도 커리어 전환이나 역량 강화를 위해 데이터 분석 자격증에 도전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일상이 된 데이터"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데이터 활용 능력이 중요해지면서 많은 직종에서 데이터 분석 역량이 필수가 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정부 및 기업의 수요 증가

정부와 대기업에서도 '데이터 전담 조직' 신설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빅데이터 분석 전문가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한 실정이라, 자격증을 통해 체계적으로 역량을 검증받는 인력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주요 자격증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에서 운영하는 주요 데이터 분석 자격증으로는 데이터분석 준전문가(ADsP), 데이터분석 전문가(ADP), 빅데이터분석기사 등이 있습니다. 이 외에도 SQLD(SQL 개발자), DAsP(데이터 아키텍처 준전문가) 등 다양한 관련 자격증들이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취업 및 커리어 가산점

이러한 자격증은 공공기관 및 대기업 취업 시 가산점은 물론, 기존 커리어 확장에도 유리하게 작용하여 많은 이들이 취득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데이터가 비즈니스와 사회 전반에 걸쳐 핵심적인 요소가 되면서, 데이터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능력이 곧 경쟁력이 되는 시대 흐름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참고>세 자격증 비교

구분
ADsP (준전문가)
ADP (전문가)
빅데이터분석기사
난이도
하 ~ 중 (입문자 적합)
상 (매우 높음)
중 ~ 상 (기사 자격증 중에서는 높은 편)
응시 자격
없음
유관 분야 학위/경력 또는 ADsP 취득
유관 분야 학위/경력 (기사 자격 요건)
시험 방식
필기 (객관식)
필기 (객관식+서술형) + 실기 (작업형)
필기 (객관식) + 실기 (필답형+작업형)
주요 역량
데이터 기본 지식, 분석 기획, 기초 분석
심화 통계/머신러닝 이론, 데이터 전처리, 모델링, 시각화, 논리적 문제 해결 능력
빅데이터 환경 이해, 분석 기획, 탐색, 모델링, 결과 해석, 실무 코딩 능력
취득 목적
데이터 분야 입문, 기본 역량 검증
전문 분석가 역량 증명, 고급 분석 직무 준비
빅데이터 특화된 분석 전문가 역량 증명, 기사 자격 필요 직무
주관 기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Kdata)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Kdata)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Kdata)

※보통은 ADsP로 시작하여 기본적인 개념을 익힌 후, 더 심화된 ADP나 빅데이터분석기사에 도전하는 경로를 많이 선택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