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KTX와 SRT 통합 논의 현황 및 전망 : KTX·SRT 비교

기적 소리 2025. 7. 31. 06:03
반응형
 
 
민주당 대선공약 포함, 국정위도 검토 착수
김윤덕 "KTX·SRT 교차운행 시범사업 검토"
철도노조 "통합 통해 국민 편익 확대해야"
[전북일보 250730]

KTX와 SRT 통합 등 합리적인 개선 방안 마련 필요성은 고속철도 운영의 효율성, 국민 편익 증진, 재정 건전성 확보 등을 위한 중대한 이슈입니다.

 

통합 필요성

■ 운영 중복 해소

KTX(코레일)와 SRT(SR)가 같은 선로를 사용하면서도 별도 운영되어 중복투자가 발생함.

■ 요금 및 노선 차이로 인한 혼선

승객 입장에서 요금체계와 예약 시스템의 이원화로 불편 초래

■ 공공성·효율성 문제

SR은 공기업의 자회사지만, 민간기업 수준의 수익성을 추구하며 공공성 논란

통합 또는 개선 방안

개선 방안
내용
기대 효과
1. 완전 통합
KTX와 SRT 운영을 통합하여 단일 시스템으로
중복 인프라 제거, 요금 및 예약 통일
2. 연계 운행 강화
통합 대신 연계노선 및 환승편의 증진
비용 최소화, 편의 향상
3. 예약·발권 시스템 통합
앱 및 홈페이지, 요금 체계 단일화
사용자 불편 해소
4. 공공성 강화 제도 개편
SR의 수익성 중심 구조 개선 및 공공철도 역할 강화
교통 복지 확대
5. 경쟁 도입 하되 규제 강화
경쟁체제 유지, 공정한 선로 사용료 책정
효율+공공성 균형 도모
 

유의점

  • 노조 반발, 이해관계자 조율 필요
  • 독립성과 경쟁의 순기능 고려
  • 소비자 편익 최우선 원칙 필요

필요하다면 정부, 국회, 관련 공기업 간 공론화 과정사회적 합의 도출을 통해 장기적인 철도 운영 개편 로드맵이 마련돼야 합니다.

<참고> KTX 와 SRT 비교

항목
KTX
SRT
운영사
코레일(KORAIL, 한국철도공사)
SR(㈜에스알, 코레일 자회사)
운행 개시
2004년
2016년
출발역
(서울 기준)
서울역, 용산역
수서역
주요 노선
경부선, 호남선, 강릉선 등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 (직선 위주)
노선 구조
기존선 + 고속선 혼용
대부분 고속선 위주
속도
최고 305km/h (실제 운행 약 300km/h)
최고 305km/h (동일)
운임 요금
SRT보다 평균 5~10% 높음
KTX보다 평균 5~10% 저렴
좌석 수
일반석 기준 935석(KTX-산천)
일반석 기준 363석(SRT-산천)
환승 편의
일반철도, 지하철과 연계 편리(서울역 등)
수도권 동남부 접근성 높음(수서역)
예약 시스템
코레일톡, letskorail.kr
SRT 앱, etrain.srail.kr (서로 연동 안 됨)
운영 목적
공공 철도 서비스
경쟁체제 통한 효율성 제고 (수익성 중심)

※ 특징 요약

  • KTX: 전국적인 네트워크 기반, 수도권 중심 접근성이 좋음, 기존 역사 활용.
  • SRT: 수도권 동남부(강남권) 접근성이 우수, 고속선 직통으로 운행 시간 단축, 요금 상대적으로 저렴.

통합 논의가 나오는 이유는 운영의 중복성과 비효율, 소비자 혼선 때문이며, 경쟁체제로 인한 요금 경쟁서비스 질 향상이라는 장점도 고려되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