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중해식 식단(Mediterranean Diet)은 혈당지수(GI)와 당뇨 예방·관리 측면에서 상당히 유리한 식단으로 평가됩니다.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지중해식 식단의 혈당지수 특징
■ 저·중혈당지수(GI) 식품 위주
→ 통곡물(현미, 귀리, 보리), 채소, 콩류, 견과류, 올리브유
→ 흰빵·정제당·가공식품 최소화
■ 혈당 부하(GL) 낮음
→ GI가 낮아도 섭취량이 많으면 혈당이 오르는데, 지중해식은 양 조절과 식이섬유 풍부로 GL도 낮음
■ 건강한 지방
→ 단일불포화지방(올리브유)과 오메가-3(생선)가 혈당 급상승을 완화하고 인슐린 감수성 개선
2. 당뇨와의 관계
효과
|
기전
|
연구결과
|
제2형 당뇨 예방
|
저GI·항염 식단이 인슐린 저항성 완화
|
대규모 코호트에서 당뇨 발병 위험 20~30% 감소
|
혈당 조절 개선
|
섬유질·단백질·건강한 지방이 식후 혈당 상승 억제
|
HbA1c 감소(평균 0.3~0.5%p)
|
심혈관 합병증 위험 감소
|
항산화·항염 식품 다량 포함
|
당뇨환자에서 심혈관질환 사망률 낮춤
|
체중·복부지방 감소
|
포만감 유지·과식 방지
|
체중 5~10% 감소 시 인슐린 민감도 개선
|
3. 당뇨 환자 적용 시 주의점
- 과일은 GI가 낮은 것(베리류, 사과, 자두) 위주, 양 조절
- 통곡물이라도 과다 섭취 시 혈당 오를 수 있어 총 탄수화물량 관리
- 와인은 허용되지만, 하루 1~2잔 이하로 제한
- 기름은 올리브유 중심, 튀김보다는 드레싱·볶음에 활용
마무리하며
지중해식은 평균적으로 GI가 낮고, 혈당 부하가 적으며,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해 당뇨 예방과 관리에 효과적입니다.
특히 장기적으로 식습관을 바꾸는 데 무리가 없으면서도 심혈관질환 위험까지 줄여주는 점이 장점입니다.
다만, 개인별 탄수화물 섭취량 조절이 병행되어야 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참고> 지중해식 주요 식품 GI·GL 표
아래는 지중해식 식단에서 자주 쓰이는 식품들의 혈당지수(GI)와 혈당부하(GL) 정리표입니다.
(GL은 1회 섭취량 기준, GL<10: 낮음 / 11~19: 중간 / 20 이상: 높음)
식품군
|
식품 예시
|
GI(혈당지수)
|
GL(1회 섭취량)
|
비고
|
통곡물
|
귀리(오트밀)
|
55
|
13
|
수용성 섬유소 풍부, 포만감↑
|
|
보리
|
28
|
7
|
GI 매우 낮음, 인슐린 민감도↑
|
|
통밀빵
|
50~55
|
12~14
|
흰빵보다 혈당 상승 완만
|
콩·두류
|
병아리콩
|
28~33
|
8
|
단백질·섬유소 풍부
|
|
렌틸콩
|
29
|
7
|
GI 낮고 소화 천천히
|
채소
|
시금치·브로콜리·토마토
|
<20
|
<5
|
혈당 영향 거의 없음
|
|
고구마
|
44~61
|
11~17
|
조리법에 따라 GI 변화
|
과일
|
블루베리
|
53
|
6
|
항산화 성분 풍부
|
|
사과
|
36
|
6
|
껍질째 섭취 시 섬유소↑
|
|
포도
|
53
|
11
|
당 함량 높아 과다섭취 주의
|
견과류·씨앗
|
아몬드·호두
|
<20
|
<1
|
GI·GL 거의 없음
|
유제품
|
그릭요거트(무가당)
|
35
|
3
|
단백질↑, GI 낮음
|
단백질·지방
|
연어·고등어
|
0
|
0
|
혈당 영향 없음, 오메가-3↑
|
|
올리브유
|
0
|
0
|
단일불포화지방, 항염효과
|
※ 활용 팁
- GI뿐 아니라 GL이 낮은 식품을 위주로 구성
- 한 끼 식사 시 GI·GL이 낮은 식품과 단백질·건강한 지방을 같이 섭취하면 혈당 안정 효과 상승
- 가공·정제된 탄수화물(흰빵, 설탕, 과자)은 지중해식에서 배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