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생크림 혈당지수, 당뇨와의 관계 : 종류, 제조방법

기적 소리 2025. 8. 1. 16:17
반응형
 
생크림은 부드러운 질감과 고소한 맛으로 디저트부터 요리까지 다양한 음식에 활용되는 식재료입니다. 흔히 혈당과는 큰 관련이 없다고 여겨지지만, 당뇨 환자에게는 지방 함량과 섭취 방식이 중요한 고려 요소입니다.

생크림의 혈당지수 (GI)

혈당지수(Glycemic Index, GI): 10~20 미만 (매우 낮음)

→ 생크림은 대부분 지방과 약간의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고, 당질(탄수화물) 함량이 매우 적음.

당뇨와의 관계

 
항목
설명
GI 영향
매우 낮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혈당을 크게 올리지는 않음
혈당 부담
적은 양이라면 혈당 부담이 거의 없음
지방 함량
포화지방 함량이 높아 과다 섭취 시 인슐린 저항성 증가 우려
칼로리
고지방식품이므로 비만 유발 가능성 → 제2형 당뇨 위험 증가 요인
추천 섭취
무가당 생크림소량 사용하는 건 당뇨환자에게 큰 문제 없음

주의할 점

  • 시판 생크림 제품 중 설탕이나 첨가물이 들어간 제품(휘핑크림 등)은 혈당을 급격히 올릴 수 있음
  • 순수 생크림(heavy cream) 또는 무가당 생크림만을 선택할 것

생크림 종류

종류
지방 함량
용도
Heavy Cream
36% 이상
케이크, 휘핑
Whipping Cream
30~35%
디저트, 요리
Light Cream
18~30%
커피크림 등

마무리하며

 

생크림은 혈당지수가 낮아 직접적인 혈당 상승은 적지만, 지방 함량이 높아 과다 섭취 시 장기적으로 당뇨병 관리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 "소량, 무가당 제품 위주로" 제한적 섭취가 바람직.

 

<참고> 생크림 제조방법

생크림(whipping cream 또는 heavy cream)은 우유 속 지방을 분리하여 만든 유제품입니다.

1. 원유 준비

  • 신선한 원유(우유)를 확보합니다.
  • 일반 우유의 지방 함량은 약 3.5% 정도입니다.

2. 지방 분리 (원심분리)

  • 크림 분리기(centrifuge)를 이용해 지방을 분리합니다.
  • 무거운 성분(탈지유)은 아래로, 가벼운 **지방층(크림)**은 위로 올라옴.
  • 이 과정을 통해 30~40% 지방 함량의 크림을 얻습니다.

3. 살균 (저온 또는 고온)

  • 미생물 제거를 위한 살균이 필요합니다.
  • 저온살균: 63℃에서 30분
  • 고온살균: 72℃에서 15초
  • 초고온처리(UHT): 135℃에서 2~5초

4. 균질화 (옵션)

  • 일부 제품은 입자가 고르게 분산되도록 균질화(homogenization) 과정을 거칩니다.
  • 하지만 휘핑용 생크림은 휘핑 특성을 살리기 위해 균질화하지 않기도 함.

5. 냉각 및 포장

  • 제조된 생크림은 냉각 후 위생적으로 포장하여 유통됩니다.

※ 생크림 제조방법 집에서 만드는 간단한 생크림 대체품 (DIY)

  • 우유 2/3컵 + 무염버터 1/3컵 → 잘 섞으면 약 1컵 분량의 크림 대용 가능
  • (휘핑은 잘 안되지만 요리에 활용 가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