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건강의 기적] 하루에 얼마나 걸어야 좋을까? 10,000보/7,500보

기적 소리 2025. 3. 12. 21:42


걷기는 일상에서 실천하기 가장 쉬운 운동이다. 시간·장소 제약이 없으며 부상 위험도 적어 누구나 쉽게 시작할 수 있다. 특히 어떻게 걷느냐, 얼마나 걷느냐에 따라 차별화된 운동 효과를 내기도 한다.

1. 어떻게 걸어야 좋을까? 바른 자세로 걸어야


걷기는 가장 쉬우면서도 비만을 예방할 수 있는 좋은 유산소 운동이다. 전신 근육의 약 70%가 집중된 하체를 많이 움직이고, 근육을 만들어 똑같이 먹어도 살이 덜 찌는 몸이 되기 때문이다.

다만, 바른 자세로 걸어야 걷기 효과를 제대로 볼 수 있다. 걷는 자세가 나쁘면 운동 효과가 떨어짐은 물론, 척추 질환이 생길 위험이 있다.

▲허리를 곧게 펴고 ▲머리를 세우며 ▲팔은 앞뒤로 자연스럽게 흔들고 ▲시선은 전방 10~15m를 보고 ▲발뒤꿈치→발바닥→발앞꿈치 순서로 땅에 닿도록 전진하면 된다.


2. 얼마나 걸어야 좋을까?  1만보 /7,500보

1) 만보기 때문에 생긴 '1만보'


언젠가부터 이상적인 하루 걸음 수는 1만보라는 인식 보편화 되어 왔다. 검증되지 않은 만큼 하나의 가설인데 이 1만보 가설은 동서를 가리지 않고 퍼져있다.

그러나 미국 하버드 의대의 아이민 리 교수는 1만보 가설을 뒷받침하는 의학적 근거는 없다고 주장한다. 리 교수는 1960년대 일본의 한 업체가 걸음 수를 측정하는 계보기를 개발해 판매하면서 이 제품에 '만보계'라는 이름을 붙인 것이 1만보 가설의 출발점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2) 하바드 의대 연구팀이 검증한 '7,500보'


미국 하버드 의대 연구팀은 우선 1993년 4월부터 2004년 3월까지 하버드 의대와 보스턴 소재 브리검 여성 병원이 미국 여성 3만 9876명을 추적 관찰해 만든 건강 데이터 '여성 건강 연구'에서 1만 7000여 명의 데이터를 추출했다.

추출한 참가자 1만 7000여 명은 대부분 70대 여성이고, 건강상 특별한 문제는 없었다. 리 교수 연구팀은 걸음 데이터를 수집하고 4~5년이 흐른 후 이들 1만 7000여 명 중 몇 명이 사망했는지 확인했다.

1만 7000여 명 중 활동량이 가장 적은 여성들은 하루 2700보 이하를 걸었는데, 이들 중 상당수가 4~5년 후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활동량이 많은 여성일수록 조기 사망할 위험이 낮았다. 하루 7500보 정도 선에서 조기 사망률이 가장 낮았고, 7500보를 넘겼을 때는 조기 사망률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이와 함께 연구팀은 조기 사망률을 낮출 수 있는 최적의 걸음 수가 하루 4500보라는 점도 확인했다.

하루 4500보를 걸은 여성은 향후 4~5년 안에 사망할 확률이 2700보를 걸은 여성보다 40% 낮았다.

하루 만보는 어떨까. 이번 연구에 따르면 7500보를 넘는 순간, 그보다 더 걷는다고 해서 건강상 이득이 따라 올라가지는 않았다.

이 연구는 70대 이상 여성의 걸음 수와 조기 사망률만 살펴봤기 때문에 더 젊은 연령대에게 필요한 걸음 수까지 알아내지는 못했다. 그러나 하루 1만보를 채우지 않더라도 건강을 위해 적정량의 활동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