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취업자 수 급증
- 2025년 상반기 AI 일자리 매칭 서비스를 통해 취업에 성공한 이용자는 87,212명으로, 전년 동기(47,409명) 대비 84% 증가했습니다.
- 이 서비스는 고용노동부의 통합 플랫폼 '고용24'에서 제공되며, 구직자의 이력서, 경력, 입사지원서 등을 분석해 적합한 일자리를 자동으로 추천합니다.
2. 높은 임금 효과
- AI가 추천한 일자리에 취업한 경우, 일반적인 방법으로 취업한 경우보다 월평균 임금이 12만 원 더 높은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특히 경영·사무·금융직과 연구·공학·기술직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었습니다.
3. 주요 성공 사례
- 경력 단절 여성: 30대 여성 구직자 중 AI가 안전컨설팅 직무를 추천해 재취업에 성공한 사례가 있었습니다.
- 중소기업 채용: 인지도가 낮은 IT 중소기업도 AI 매칭을 통해 적합한 인재를 채용할 수 있었습니다.
4. 청년층을 위한 '잡케어 서비스' 확대
AI가 이력서와 자기소개서를 분석해 진로 로드맵, 적합 직무, 훈련 추천 등을 제공하는 '잡케어 서비스'도 상반기 27만 4,316건이 생성되며 전년 대비 50% 증가했습니다.
특히 20대 이하 이용자가 90%를 차지했습니다.

5. 향후 확대 계획
2025년 9월부터는 4종의 신규 AI 서비스가 추가될 예정입니다.
- 지능형 직업심리검사: 흥미와 적성에 맞는 직업 추천
- 취업확률모델: 구직자의 취업 가능성 분석
- AI 직업훈련 추천: 역량개발에 필요한 훈련과정 제시
- 구인공고 AI 작성지원: 기업의 채용공고 자동 생성.
이처럼 AI 기반 고용 서비스는 구직자와 기업 모두에게 효율적인 매칭을 제공하며,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