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28일 교도관의 '구치소 독방 거래' 정황을 포착하고 법무부 교정본부와 서울구치소를 대상으로 압수수색을 벌였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중대범죄수사과는 이날 "구치소 내 직무비리와 관련해 오전 9시부터 압수수색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250728]
|
서울구치소에서 교도관이 수용자들에게 '독방 배정'을 대가로 금품을 받아왔다는 의혹이 제기되어 경찰이 대대적인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법무부 교정본부와 서울구치소를 압수수색했습니다.

독방 거래 의혹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중대범죄수사과는 서울구치소 소속 교도관 A씨가 일부 수용자들로부터 '독거실(독방) 배정'을 명목으로 수천만원의 금품을 받은 정황을 포착했습니다.
실제 배정 사례
실제로 A씨의 계좌에는 여러 수용자로부터 수천만원이 입금된 내역이 확인되었으며, 이들 중 일부는 일반 수용자 6~7명이 함께 쓰는 '혼거실'에서 1인실인 '독거실'로 재배정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압수수색 대상
경찰은 독거실 배정 업무를 총괄하는 서울구치소 보안과를 비롯해 총무과, 의료과 등을 압수수색하여 수용자들의 거실 이동 기록 등을 확보했습니다. 또한 법무부 교정본부도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되었습니다.
브로커 개입
경찰은 이번 독방 거래에 조직폭력배 출신 브로커 2명이 개입한 사실을 확인하고 이들을 뇌물공여 혐의로 이미 구속했습니다. 이 브로커들은 수용자의 돈을 받아 교도관 A씨에게 일부를 전달한 것으로 파악됩니다.
수사 확대
경찰은 압수물을 분석하여 A씨 뒤에 배후 세력이 있는지, 교정시설 차원의 묵인이 있었는지 등을 포함해 수사를 확대할 방침입니다.
법무부 입장
법무부는 이번 사건에 대해 "직원의 개인적인 비위 의혹으로 보인다"며 "정확한 경위를 파악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사건은 교정시설 내부의 고질적인 문제인 직무비리 의혹이 수면 위로 드러난 것으로, 수사 결과에 따라 파장이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수용자에게는 절대적으로 중요한 거실 배정이라는 민감한 사안에 금품이 오고 갔다는 점에서 교정 행정의 신뢰도에 큰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참고> 독방 내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