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김건희 여사의 논문 검증을 주도했던 교수단체가 이진숙 교육부 장관의 후보자가 작성한 논문 13편이 표절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김건희 여사의 논문표절과 비교를 할 수 없을 정도로 문제가 심각하다며 이 후보자의 신속한 사퇴를 촉구했다.
[뉴스1 250714]
|
‘범학계 국민검증단’이 7월 14일,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논문 150편을 전수 검증한 결과 16편에서 연구윤리 위반 의혹이 발견되었다며 자진 사퇴를 강력히 요구했습니다

16편 논문 연구윤리 위반 소지 높음
■ 유형별 위반 사례
- 제자 학위 논문임을 밝히지 않고 제1저자로 발표 (8건)
- 교신저자로 밝히지 않고 발표 (2건)
- 제자의 학위 논문보다 본인 논문이 먼저 게재 (4건)
- 중복 게재한 사례 (2건)
- IRB 승인 미표기한 논문 다수 포함 (5건)
■ 특히 제자 논문의 핵심 내용을 본인이 1저자로 수행한 사례에서 표절률 52~56%에 이르는 심각한 수준도 포함됨
검증단 입장
- 이 같은 행위는 연구 부정행위에 해당하며, 교육자로서 지위를 자진 포기해야 할 정도로 중범죄에 해당한다고 주장
- “김건희 논문 표절”보다 파장이 훨씬 크다며 정치적 판결을 촉구
후보자 및 교육부 반박
- 이미 충남대 총장 임용 당시 9편은 연구윤리검증위에서 ‘연구부정 없음’으로 판정 완료
- 건축학회·색채학회도 “심각한 중복 게재 아니다” 입장
- 제자들 역시 “교수 기여도 반영에 따른 1저자 표기로 문제 없다”는 입장
- 교육부는 “인사청문회에서 충분히 소명 예정”이라며 대응 준비 중

앞으로의 일정
- 인사청문회 예정일: 7월 16일
- 표절 의혹은 물론, 저자 표기·IRB 승인 여부 등에 대한 소명이 예고됨
마무리하며
- 학계는 지도교수와 제자 간 저자 표기 관행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표절 수준이 높다고 우려
- 정부·후보자는 절차적 정당성을 강조하며 반박
- 7월 16일 청문회에서 의혹이 해소되지 않으면 정치적 책임과 사퇴 압박이 강해질 가능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