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당근·무 혈당지수, 당뇨와의 관계 : 영양성분 비교

기적 소리 2025. 7. 1. 22:11
반응형
당근과 무는 모두 혈당지수가 낮은 채소로, 당뇨병 관리에 도움이 되는 식품입니다. 아래에 두 식품의 혈당지수(GI)와 당뇨와의 관련성을 비교 정리해 보았습니다.

1. 당근(Carrot)

■당근 혈당

구분
내용
혈당지수(GI)
생당근: 약 35 / 삶은 당근: 약 49~55
혈당부하(GL)
낮음 (소량 섭취 시 혈당 영향 적음)

■ 당뇨와의 관계

  • 생당근은 저GI 식품으로 혈당을 급격히 올리지 않음
  • 베타카로틴 풍부 → 항산화 작용, 인슐린 저항성 개선 가능
  • 삶으면 GI는 약간 상승하지만 여전히 중간 이하 수준
  • 당뇨 환자도 적정량 섭취 가능, 특히 생당근 추천 |

2. 무(Radish)

■ 무 혈당

 
구분
내용
혈당지수(GI)
15~25 (아주 낮음)
혈당부하(GL)
매우 낮음

■ 당뇨와의 관계

  • 초저GI 식품 → 혈당에 거의 영향 없음
  • 식이섬유, 수분 풍부 → 포만감 제공, 식후 혈당 상승 억제
  •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등의 성분은 항염, 항산화 작용
  • 당뇨 환자에게 매우 권장되는 채소 |

당근 무 비교

항목
당근
GI 수치
35(생), 49~55(익힘)
15~25
혈당 영향
낮음~중간
매우 낮음
권장 여부
생당근 위주로 적정량 섭취 OK
자유롭게 섭취 가능
기타 효능
베타카로틴 → 눈 건강, 항산화
이소티오시아네이트 → 항암, 염증 억제
 

당뇨 환자를 위한 팁

  • 당근은 생으로 샐러드에 넣거나, 살짝 데쳐 먹는 것이 좋습니다.
  • 무는 날로 먹거나, 국/무침 등으로 활용해도 혈당 부담이 거의 없습니다.
  • 단, 당근 주스는 농축되면서 당분 밀도가 높아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마무리하며

당근과 무는 모두 혈당지수가 낮아 당뇨 환자에게 부담 없이 섭취할 수 있는 채소입니다.

특히 무는 GI 수치가 매우 낮아 식후 혈당 조절에 효과적이며, 당근은 생으로 섭취할 경우 항산화 성분과 함께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식단에 적절히 활용하면 당뇨 관리에 큰 도움이 됩니다.

 

<참고> 당근 vs 무 영양성분 (100g 기준)

영양소
당근
열량 (kcal)
약 35 kcal
약 18 kcal
탄수화물
8.2g
4.1g
┗ 당류
3.5g
2.5g
식이섬유
2.8g
1.6g
단백질
0.9g
0.6g
지방
0.2g
0.1g
수분
약 88g
약 94g
비타민 A
매우 풍부 (β-카로틴 약 8,000µg)
거의 없음
비타민 C
6mg
14~20mg
칼륨
320mg
230mg
칼슘
33mg
24mg

※ 요약 포인트

당근:

  • 탄수화물, 식이섬유, 베타카로틴(→비타민 A) 풍부
  • 눈 건강, 항산화, 면역력 강화

무:

  • 수분 많고 칼로리 낮음
  • 비타민 C 풍부, 소화 효소(디아스타제) 포함 → 소화에 도움
  • 매운맛 성분 이소티오시아네이트 → 항염, 항암 효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