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의 채무조정(빚 탕감) 정책에 대해 최근 언론과 시민 사이에서 벌어지는 주요 찬·반 논쟁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찬성 입장
취약계층 회생 지원
코로나19로 고통받는 소상공인·저소득층·장기 연체자 약 113만~143만 명, 채무 16조여 원에 대해 원리금 감면과 소각을 통해 재기 기회를 제공하겠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정부는 “사회적 약자들에게 재기의 기회를 제공하고, 연체 발생보다 채무정리를 통해 경제활동 복귀를 돕는 것이 사회적 비용 절감에 효과적”이라고 설명합니다.
기존 제도보다 확실한 구조
캠코 배드뱅크를 통한 일괄 매입, 원금 최대 80% 감면(연체), 소상공인은 원금 최대 90% 감면(신용 1억 원 이하, 중위소득 60% 이하) 등 기존 신복위보다 관대하고 구조가 명확합니다 .
코로나 대응 공정성 회복
이재명 대통령은 “다른 나라들은 국가 부채를 늘려가며 국민을 지원했지만, 한국은 국민에게 빚을 지우는 방식으로 대응했다”며 정부 차원의 책임성을 강조합니다.

반대 / 우려
형평성·역차별 논란
“성실하게 빚을 갚은 사람만 바보인가?”, “안 갚는 사람만 혜택을 받는다”는 지적처럼, 성실 상환자들이 역차별 받고 있다는 불만이 커지고 있습니다 .
도덕적 해이 촉발 우려
“과도한 채무 조정이 연체율 증가와 도덕적 해이를 유발할 수 있다”는 금융권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금융 시스템 안정성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입장입니다 .
금융권 수익성 부담
금융사에게도 부실채권을 넘기기 위한 출연 금 부담, 금리 손질, 상생금융 요구 등은 수익성 악화와 긴장 요인입니다 .
정치·재정적 논란
야당은 이를 ‘포퓰리즘 쇼’로 지적하며, 추경 편성과 재정 확장에 따른 국가채무 상승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
향후 전망
사회적 회복 실질적 구조조정·재기 촉진
형평·역차별 상환자 반발 확대 가능성
금융 영향 연체율 상승·은행 수익성 부담
재정 지속성 추경 및 공공재정 압박 우려
이번 정책은 코로나 이후 취약층 회복을 위해 과감하게 설계됐지만, 그 구조가 성실 상환자 대상 공평성 문제, 금융 안정성, 그리고 국민 정서와 충돌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진지한 사회적·제도적 논의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국회 추경 심의 과정에서 제도 보완(예: 성실자 인센티브, 금융 감시 강화, 엄정 심사 기준 등)이 반드시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