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정부 부처별 바우처(이용권)사업, 지원대상·조건·내용

기적 소리 2025. 6. 8. 08:28
반응형
정부지원 바우처는 정부가 특정 목적을 가진 개인이나 기업에게 제공하는 일종의 이용권으로 재정적 지원을 의미합니다. 부처별 주요 바우처를 망라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중소벤처기업부

■ 혁신바우처

  • 지원대상: 매출 120억 원 이하 제조 중소기업 (중대재해예방/탄소바우처는 1,500억 원 이하까지 확대)
  • 지원금액: 최대 5,000만 원 (매출 규모별 보조율 45%~85% 차등)
  • 주요내용: 기술지원, 마케팅, 중대재해예방, 탄소중립 경영 지원
  • 신청방법: [혁신바우처 플랫폼](http://www.mssmiv.com) 온라인 신청

■ 클라우드/AI 바우처

  • 지원대상: 매출 120억 원 이하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
  • 지원금액: 최대 400만~5,000만 원
  • 주요내용: 클라우드 서비스, AI 솔루션 등 디지털 전환 지원
  • 신청방법: NIPA 또는 중기진흥공단 신청

2. 산업통상자원부

■ 수출바우처

  • 지원대상: 수출 초보기업부터 강소기업까지 단계별 지원
  • 지원금액: 최대 1억~2억 원 (기업 규모별 차등)
  • 주요내용: 해외마케팅, 통번역, 디자인 등 14개 분야 지원
  • 신청방법: [수출바우처 포털](https://www.exportvoucher.com)

■ 에너지바우처

  • 지원대상: 기초생활수급자 중 노인, 장애인, 영유아 가구
  • 지원금액: 연 295,200원~701,300원 (가구원 수별 차등)
  • 주요내용: 전기, 가스, 난방 등 에너지 비용 지원
  • 신청방법: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신청

3. 농림축산식품부

■ 농식품바우처

  • 지원대상: 생계급여 수급 가구 중 임산부, 영유아 포함 가구
  • 지원금액: 월 40,000원~187,000원 (가구원 수별 차등)
  • 주요내용: 국산 농산물(과일, 채소, 우유 등) 구매 지원
  • 신청방법: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신청

4. 보건복지부

■ 산모신생아 바우처

  • 지원대상: 출산 가구 중 소득 기준 충족자
  • 지원금액: 본인 부담금 10%~55% 지원
  • 주요내용: 산후조리, 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 신청방법: 출산 예정일 40일 전 ~ 출산 후 60일 이내 신청

5. 교육부

■ 교육급여 바우처

  • 지원대상: 중위소득 50% 이하 초·중·고등학생
  • 지원금액: 연 461,000원~727,000원 (학생 연령별 차등)
  • 주요내용: 학용품, 교복, 교재비 등 교육비 지원
  • 신청방법: 한국장학재단 또는 복지로 신청

■ 평생교육바우처

  • 지원대상: 기초생활수급자, 중위소득 65% 이하 성인
  • 지원금액: 연 35만 원 (최대 70만 원 재충전 가능)
  • 주요내용: 직업교육, 어학, 디지털 교육 등 평생학습 지원
  • 신청방법: [평생교육바우처 홈페이지](http://www.lllcard.kr)

6. 고용노동부

 

■ 직업능력개발 바우처

  • 지원대상: 실업자, 근로자, 청년 등
  • 지원금액: 과정별 최대 300만 원
  • 주요내용: 직업훈련, 자격증 취득 지원
  • 신청방법: 고용센터 또는 [워크넷](https://www.work.go.kr)

7. 문화체육관광부

 

■ 문화바우처

  • 지원대상: 저소득층, 장애인, 다문화가정 등
  • 지원금액: 연 5만~10만 원
  • 주요내용: 공연, 영화, 박물관 등ㅜㄴ
  • 문화활동 지원
  • 신청방법: 지역문화재단 또는 온라인 신청

※ 공통 사항

- 대부분 온라인 신청 가능 (일부는 주민센터 방문 필요)

- 사용 기한 엄격 (미사용 시 제재 발생 가능)

- 중복 지원 가능 여부는 사업별로 상이 (반드시 확인 필요)

- 자세한 내용은 각 부처 홈페이지 또는 복지로(www.bokjiro.go.kr)참조

 

<참고> 정부지원 바우처 특징

정부지원 바우처(이용권)는 정부가 특정 목적을 가진 개인이나 기업에게 제공하는 일종의 재정적 지원을 의미합니다. 이 제도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주로 복지, 교육, 의료, 수출 등의 영역에서 사용됩니다. 주요 특징과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목적별 지원: 정부지원 바우처는 특정한 목적에 맞게 설계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수출 바우처는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을 돕기 위해 맞춤형 수출 서비스를 포인트 형태로 지원합니다.
  2. 선택의 자유: 대부분의 바우처 프로그램은 수혜자가 원하는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경쟁을 촉진합니다.
  3. 재정적 부담 경감: 바우처는 사용자가 서비스 비용을 직접 부담하지 않도록 지원금을 제공함으로써 경제적 부담을 덜어줍니다.
  4.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 교육, 의료, 출산, 중소기업 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바우처가 제공되며, 각 분야의 특성에 맞는 서비스가 지원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