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팝 잔치된 그래미 어워드(Grammy Awards)
로제 '아파트' · 이재 '골든' 사상 첫 '본상' 도전
[머니투데이 25-11-08]
|
아파트 (ROSÉ & Bruno Mars)와 골든(이재)를 음악적 특성과 성공 요인 측면에서 비교해 보았습니다.
1. “APT.”의 음악적 특성 및 성공 요인
🎼 음악적 특성
APT.은 팝·팝락(pop rock)·팝펑크(pop punk)·뉴웨이브(new wave) 등의 요소를 혼합한 곡으로, 인디록·일렉트로팝 감성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제목 및 후렴부 “아파트 / 아파트” (“아파테우: apateu (아파트)”)는 한국의 술게임 ‘아파트 게임(apateu)’에서 착안해 리듬 챈트 형태로 반복됩니다.
후렴의 리듬 반복과 쉬운 훅(hook) 구조가 특징이며, “Uh, uh-huh, uh-huh” 같은 보컬 어택이 귀에 잘 남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가사에는 한국어와 영어가 혼합돼 있으며, 한국어 “건배, 건배” 같은 표현이 삽입되어 글로벌 앨범이면서도 한국적 색채를 갖고 있습니다.
곡의 구조 측면에서 보면, 인트로 → 벌스(verse) → 프리코러스 → 강한 훅(chorus) → 반복 구조로, ‘게임’ 요소를 음악적 훅으로 바꾼 점이 돋보입니다.

✅ 성공 요인
글로벌 아티스트 협업: ROSÉ(한국계 글로벌 K-pop 아티스트)와 Bruno Mars(미국 팝스타)의 협업 자체가 이미 ‘국경을 넘는 스펙트럼’을 보여줬습니다.
문화적 참조 + 유니크한 콘셉트: 한국 술게임을 팝싱글로 전환한 기발한 콘셉트가 화제가 됐고, 해당 게임의 챈트가 후렴 훅으로 작용하면서 중독성 있는 리듬을 만들어냈습니다.
쉬운 훅 + 반복성: 후렴부가 반복적이고 귀에 붙기 쉬워서 SNS, 쇼츠(shorts), 립싱크(Lip-sync) 등에 적합했고, 바이럴성에 유리했습니다.
한국적 요소 + 글로벌 감각의 결합: 한국어 표현이 포함되어 ‘K-pop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도, 팝록/뉴웨이브 사운드를 통해 서구권 리스너에게도 매력적으로 다가갔습니다.
성적·기록 측면: 발표 후 다수 국가 차트 1위, 유튜브·스트리밍 기록 경신 등으로 성취도가 높습니다.
2. “골든(Golden)”의 음악적 특성 및 성공 요인
🎼 음악적 특성
골든은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의 메인 OST로서 ‘서사성’이 강한 곡입니다. 감정선이 뚜렷하며, 고음 파트 및 보컬의 다이내믹이 강조되어 있습니다.
작곡가 겸 가수 이재가 직접 작사·작곡에 참여했으며, 한국어 가사를 후렴에 필수적으로 넣고자 한 것이 특징입니다.
가사 및 멜로디 모두 “희망적 메시지”에 초점을 맞췄고, “영원히 깨질 수 없는” 등의 한국어 문구가 주된 후렴으로 반복되어 청취자에게 정서적 울림을 줬습니다.
보컬파트에서 중저음과 고음을 넘나드는 구성, 서사적 전개로 ‘감정이 고조되는 구간’이 의도적으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 성공 요인
강력한 메시지 + 보컬 임팩트: 단순히 듣고 즐기는 음악이 아니라, ‘이겨내자’, ‘빛나자’ 같은 메시지를 담아 넓은 연령대·국적의 공감을 이끌어냈습니다.
한국어 가사의 전략적 활용: 후렴에 한국어가 포함됨으로써 글로벌 팬들이 따라 부르기 쉽고, ‘K-pop’으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도 글로벌 시장에 적합한 구조였습니다.
서사 기반 미디어 연계: 애니메이션이라는 매체가 가진 스토리 힘을 곡에 반영했고, 해당 작품의 팬덤과 OST 청취층이 겹치면서 시너지가 발생했습니다.
작곡가/가수의 진솔한 배경 스토리: 이재 본인의 성장 서사(연습생 시절, 좌절, 재도전 등)가 곡의 배경으로 소개되면서 ‘진정성’ 있는 아티스트 이미지가 구축됐습니다.
차트 및 수상 성과: OST로서 드물게 차트 상위권을 장악했고, 글로벌 차원에서 인정을 받으며 화제화되었으며, 후속 리스너 확장도 이뤄졌습니다.
3. 두 곡의 비교
|
항목
|
APT.
|
골든
|
|
콘셉트
|
파티·게임적 경쾌함, 중독성 있는 훅
|
서사적·희망적 감성, 스토리 기반 OST
|
|
사운드 스타일
|
팝록/팝펑크/뉴웨이브 + 중독성 챈트
|
팝형 OST, 보컬 드라마틱 구성 + 고음 강조
|
|
리스너 경험
|
반복 팝 훅 → 즉각적 몰입 & 공유 가능성 높음
|
감정 몰입 → 듣고 느끼는 문맥 중시
|
|
문화적 요소
|
한국 술게임 → 글로벌화된 콘셉트
|
한국어 가사 + K-pop 아이덴티티 + 글로벌 스토리
|
|
성공 전략
|
스타 협업 + 바이럴성 후렴 + 쉬운 훅
|
매체 연계(애니) + 메시지 중심 + 진정성 기반
|
|
활용도
|
파티·쇼츠·SNS 콘텐츠용에 적합
|
드라마/영상 콘텐츠 사운드트랙, 브랜드 영상 등
|
|
제작자 배경
|
K-pop 스타가 메인, 글로벌 팝스타와 협업
|
작곡가겸가수 기반, 하나의 OST로 스토리텔링 완성
|
4. 시사점
훅의 힘: 둘 다 훅(hook)의 설계가 중요했습니다. APT.은 반복 챈트로, 골든은 후렴 고음/메시지로 청취자를 끌어당겼습니다.
문화적 정체성 + 글로벌성의 조화: 한국적 요소를 넣되 글로벌 리스너도 이해 가능한 구조로 만든 점이 두 곡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성공 요소였습니다.
미디어 연계의 중요성: APT.은 SNS/쇼츠 통한 확산, 골든은 애니메이션 OST라는 미디어 맥락이 뒷받침돼 있었습니다.
메시지/스토리 강화: 특히 골든은 단순히 즐기는 노래를 넘어 ‘희망’, ‘극복’ 등의 메시지를 담아 깊이를 더했습니다.
아티스트/협업 구성: APT.은 스타급 협업으로 주목도를 확보했고, 골든은 작곡가겸가수가 직접 가창 및 제작에 참여한 ‘내러티브’ 기반이 주효했습니다.
#로제아파트 #이재골든 #K팝명곡 #음악비교분석 #브루노마스콜라보 #케이팝데몬헌터스OST #글로벌음악트렌드 #K팝성공요인 #감성OST #바이럴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