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 25% 급등"…AMD, 오픈AI에 AI 가속기 대량 공급
내년 하반기 MI450 칩 공급…6GW 규모
오픈AI, AMD 지분 10% 인수
[출처 : 서울경제 25-10-06]
|
OpenAI와 AMD 간의 공급 계약으로 인한 AMD 주가 급등은 국내 반도체 기업에 직접적인 경쟁 압박보다는, AI 반도체 생태계 전반의 성장과 관련 기회를 확대하는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리사 수(오른쪽) AMD CEO. 연합뉴스
AMD는 주로 AI 가속기(GPU) 시장에서 엔비디아(NVIDIA)와 경쟁하며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 계약은 AMD의 AI 칩 시장 점유율 확대를 의미합니다.
국내 반도체 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국내 주요 반도체 기업, 특히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AI용 고성능 메모리 반도체(HBM 등) 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어, AMD의 성장은 오히려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1. 고성능 메모리 수요 증가 (긍정적 영향)
HBM(고대역폭 메모리) 수요 증가
AMD의 AI 칩(예: Instinct MI 시리즈)은 엔비디아의 GPU와 마찬가지로 고성능 AI 연산을 위해 HBM과 같은 첨단 메모리 반도체를 필수적으로 탑재합니다.
삼성전자 및 SK하이닉스 수혜
이 두 기업은 HBM 시장의 주요 공급 업체로, AMD가 OpenAI와 같은 대형 고객을 확보하고 AI 가속기 시장에서 성장할수록, 이들의 HBM 공급 물량과 매출이 동반 상승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실제로 OpenAI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Stargate' 프로젝트를 포함한 AI 인프라 구축 관련 협력을 발표하며 국내 기업의 중요성이 강조되었습니다.
2. 파운드리 사업 기회 (긍정적 영향)
AI 칩 생산 경쟁
AMD를 포함한 글로벌 팹리스(Fabless) 기업들의 AI 칩 개발 경쟁이 심화되면, 이들 칩을 위탁 생산하는 파운드리 시장의 수요도 함께 증가합니다.
삼성 파운드리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는 AMD와 같은 주요 고객사의 칩 생산을 유치하여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3. AI 생태계 및 인프라 구축 협력 (시너지 효과)
OpenAI는 한국 시장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국내 기업들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는 단순히 칩 공급을 넘어 AI 데이터 센터 구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4. 직접적인 경쟁 압박은 낮음
AMD와 국내 반도체 기업(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주력 사업 분야는 다릅니다.
AMD는 주로 CPU 및 GPU(AI 가속기)와 같은 시스템 반도체(비메모리)를 설계하고, 국내 기업은 메모리 반도체와 파운드리에 강점을 가지고 있어, 경쟁보다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에 가깝습니다.

5. 마무리하며
결론적으로, AMD 주가 급등을 이끈 OpenAI와의 대형 계약은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을 보여주는 명확한 증거이며, 이는 곧 고성능 메모리 공급을 주도하는 국내 반도체 기업의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