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GTX 주요 노선 현황(A, B, C 노선) 및 2기 노선(D, E, F 노선) 전망

기적 소리 2025. 9. 28. 07:19
반응형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는 수도권 외곽 지역과 서울 도심의 주요 거점을 빠르게 연결하는 대심도(大深度, 지하 40~50m) 광역철도망입니다.

높은 표정속도(평균 100km/h 이상, 최고 시속 180km)를 통해 수도권의 심각한 교통난을 해소하고 장거리 통근자의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1. GTX 사업의 목적 및 효과

GTX는 기존의 도시철도나 광역철도가 느린 표정속도와 잦은 정차로 인해 광역 통행 수요를 효과적으로 흡수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통근 시간 획기적 단축: 수도권 외곽에서 서울 도심까지 30분대 접근을 가능하게 하여, 통근 시간을 1시간 이상 줄여줍니다. (예: 파주 운정~서울역 약 20분대, 동탄~수서 약 15분).

교통 혼잡 완화: 승용차 통행을 대중교통으로 대거 전환시켜, 도로 교통량과 혼잡 비용을 감소시킵니다.

수도권 공간 구조 변화: 외곽 지역이 서울 도심의 통근권역에 편입되면서 수도권의 광역경제권역을 확장하고, 다핵 분산형 공간 체계를 구축하는 데 기여합니다.

2. GTX 주요 노선별 현황 (A, B, C 노선)

GTX 사업은 현재 A, B, C 노선(1기 GTX)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D, E, F 노선(2기 GTX)도 계획 단계에 있습니다.

GTX-A 노선 (파주 운정 ~ 화성 동탄)

구간
주요 경유지
개통 시기
비고
수서 ~ 동탄
수서, 성남, 동탄
2024년 3월 개통 (구성역은 2024년 6월 개통)
수서평택고속선(SRT) 선로 일부 활용
운정 ~ 서울역
운정중앙, 킨텍스, 대곡, 연신내, 서울역
2024년 12월 개통 목표
창릉역은 2030년 개통 예정
서울역 ~ 수서
서울역, 삼성(미정), 수서
2026년 6월 직결 (삼성역은 2028년 4월 개통 예정)
삼성역 복합환승센터 개발로 개통 지연

GTX-B 노선 (인천대입구 ~ 남양주 마석)

구간: 인천대입구역에서 여의도, 서울역, 청량리를 거쳐 남양주 마석역을 연결합니다.

추진 현황: 2024년 상반기 착공 예정이며, 2030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효과: 인천 송도에서 서울역까지 이동 시간을 80분에서 약 30분으로 단축합니다.

GTX-C 노선 (양주 덕정 ~ 수원)

구간: 양주 덕정역에서 청량리, 삼성, 양재를 거쳐 수원역까지 연결합니다.

추진 현황: 2024년 1월에 착공했으며, 2028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효과: 양주 덕정에서 삼성까지 기존 70~80분에서 약 27분으로 단축됩니다.

 

3. 2기 GTX 노선 (D, E, F 노선)

정부는 수도권 교통 혁신을 위해 D, E, F 노선을 추가하는 '전국 GTX 시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들 노선은 제5차 국가 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하여 추진될 예정이며, 1단계와 2단계로 나누어 2035년 개통을 목표로 합니다.

GTX-D 노선: 김포 장기에서 서울 삼성까지 직결되어 팔당/원주로 이어지는 '더블 Y자' 형태의 노선입니다.

GTX-E 노선: 인천공항에서 서울을 거쳐 남양주 왕숙/덕소까지 이어집니다.

GTX-F 노선: 경기도 외곽을 순환하는 순환선 노선으로, 다른 모든 GTX 노선과 교차하며 연계성을 높입니다.

GTX는 수도권 교통 시스템의 패러다임 전환을 가져올 핵심 사업이며, 그 파급 효과는 광역 생활권의 확대와 지역 경제 발전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GTX-C 노선 착공 소식과 GTX-D·E·F 신설 노선 정보를 GTX-C노선 착공... 'ABCDEF' 우리지역엔 어떤 노선이 들어오나 영상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GTX #GTXA #GTXC #수도권교통혁신 #GTX역세권 #30분생활권 #광역급행철도 #GTXD #수도권광역철도 #GTX개통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