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무부가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고할 8·15 광복절 특별사면 대상자 명단에 조국혁신당 조국 전 대표와 조희연 전 서울시교육감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최종 사면 대상자는 이 대통령이 명단을 보고받은 뒤 12일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확정된다.[동아일보 25-08-07]
|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의 광복절 특별사면은 단순한 사면을 넘어, 향후 정치 지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대한 결정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사면심사 과정의 특징
대통령실과의 교감
사면은 대통령의 고유 권한인 만큼, 법무부의 사면심사위 심사 과정 자체가 대통령실과의 사전 조율을 거쳐 진행된다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이는 조 전 대표가 이미 심사 대상 명단에 올랐다는 것 자체가 이재명 대통령의 의중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복권의 의미
단순한 사면이 아닌 '복권'까지 포함되었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조 전 대표는 자녀 입시 비리 등의 혐의로 징역 2년형이 확정되어 내년 12월까지 복역해야 했고, 피선거권도 2031년까지 제한될 예정이었습니다. 복권이 이루어지면 형 집행이 면제될 뿐만 아니라 피선거권이 회복되어, 즉시 정치 활동을 재개할 수 있게 됩니다.
다양한 사면 요청
최근 조 전 대표의 사면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여권 내에서 꾸준히 나왔습니다. 특히 문재인 전 대통령이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을 통해 사면을 건의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재명 대통령의 결단에 힘을 실어준 것으로 분석됩니다.

정치적 파장 및 전망
범여권 통합의 신호
조국 전 대표의 복권은 조국혁신당과 더불어민주당 간의 연대를 강화하고, 나아가 지방선거를 앞두고 '범여권 통합'의 발판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방선거의 변수
복권이 현실화될 경우, 조 전 대표는 내년 지방선거의 핵심 변수로 떠오를 가능성이 큽니다. 일각에서는 조 전 대표가 서울시장이나 부산시장 후보로 출마할 수 있다는 관측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국정 운영의 부담
일각에서는 이 대통령이 임기 초반부터 정치인에 대한 사면권을 행사하는 것에 대한 비판도 제기됩니다. 조 전 대표가 형기의 절반도 채우지 않은 상황에서 사면하는 것에 대해 '민생 사면'이라는 특사의 취지를 퇴색시키는 것이라는 여론과 야당의 반발이 예상됩니다.
마무리하며
현재까지는 법무부 사면심사위원회의 심사를 통과한 단계이며, 이재명 대통령의 최종 결심과 12일 국무회의 의결 절차를 거쳐야 최종 확정됩니다. 이 과정에서 정치권 안팎의 찬반 의견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