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트럼프 "반도체에 약 100% 품목별 관세 부과" 파장 및 향후전망

기적 소리 2025. 8. 7. 08:52
반응형
속보 : 트럼프 "반도체에 약 100% 품목별 관세 부과할 것"[한국경제 25-08-07]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에 약 100% 품목별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발언했다는 속보가 전해졌습니다.

이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주요 무역 정책 중 하나로, 미국 내 제조업을 강화하고 무역 적자를 해소하려는 의도에서 나온 것으로 보입니다.

주요 내용

* 관세 부과 대상: 미국 외 국가에서 생산되는 반도체.

* 관세율: 약 100%의 품목별 관세.

* 배경: 미국 우선주의 무역 정책의 일환으로, 자국 내 반도체 산업을 보호하고 육성하려는 목적.

트럼프 대통령은 이전에도 자동차, 철강 등 다양한 품목에 관세를 부과하거나 예고하는 등 보호무역주의를 강화해왔습니다. 특히 반도체는 미·중 기술 패권 경쟁의 핵심 품목이기에 이번 발언은 세계 반도체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예상되는 파장

* 한국: 한국의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에 대한 고율 관세가 부과될 경우, 수출에 직접적인 타격을 입을 수 있습니다.

*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관세 부과로 인해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에 큰 혼란이 초래될 수 있으며, 반도체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 미국 내 기업: 반도체를 사용하는 미국 빅테크 기업들도 생산 비용 증가로 인해 타격을 입을 수 있습니다.

 

이번 발표는 전 세계 경제와 산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으로, 관련 동향을 면밀히 주시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참고> 관세부과와 반도체 등 수출 전망

반도체 훈풍 불자 터진 트럼프 폭탄…관세·투자 압박 '이중고'[ 일간스포츠2025.02.24]

반도체는 관세 직격탄을 맞는 자동차와 달리 미국으로 가는 물량이 다른 곳보다 많지 않아 출혈이 크지는 않을 것으로 추측된다.

한국무역협회의 지난 1월 수출입 현황을 보면 반도체 수출 규모는 전년 동월 대비 7.2% 증가한 102억2000만 달러(약 14조7014억원)로 전체 수출의 약 20%를 책임졌다.

국가별로 최대 고객 중국이 32.4%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했고, 베트남(17.3%)과 대만(14.9%), 홍콩(10.5%) 등이 뒤를 이었다. 미국은 8.0%에 그쳤다.

이에 증권가도 반도체 관세 부과에 지레 겁먹을 필요는 없다는 분석을 내놨다.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는 미국이 25%의 관세를 책정해도 반도체의 연간 총 수출액은 오히려 1.01%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반도체를 비롯해 전지, 철도, 석유정제, 시멘트, 주조 등은 미국의 관세율 인상에도 수출 확대를 기대할 수 있는 산업군으로 분류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