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비유의 기적] 속담 '쥐도 새도 모른다'의 유래와 의미 : 굳이 쥐와 새를 거론한 이유? 쥐와 새의 관계는?

기적 소리 2025. 3. 15. 23:09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대화를 하면서 부지불식간에 자연스럽게 사용하는 속담이 간혹 있는데 그 중에 하나가 '쥐도 새도 모른다'입니다.

당연히 그 의미나 사용 맥락은 알지만 속 뜻이나 내막에 대해 생각해 보지 않고 지나치기 쉽습니다. 그래서 이에 대해 자세히 살펴 보고자 합니다.

1. 유래

'쥐도 새도 모른다'는 표현은 한국에서 오랜 시간 사용되어 온 속담으로, 정확한 기원은 명확하지 않지만 쥐와 새가 모두 민감한 동물임에도 불구하고 아무도 눈치채지 못할 정도로 일이 조용히 진행된다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입니다.

쥐는 주로 땅속이나 어두운 곳에서 은밀하게 움직이는 동물입니다. 새는 하늘에서 넓은 시야로 주변을 감시하는 동물입니다.

이 두 동물조차도 알지 못할 정도라면, 그 일은 정말 감쪽같이 비밀스럽게 이루어진다는 의미가 됩니다.

2. 쥐와 새의 관계

쥐와 새는 속담 속에서 상징적 관계로 사용되며, 실제 생태계에서의 직접적인 관계보다는 대비되는 특성을 강조하기 위해 함께 등장합니다. 이들의 관계는 속담의 맥락, 생태적 특성, 문학적 표현이라는 3가지 관점에서 그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속담 속 상징적 관계

- 쥐
   ▪︎은밀함을 상징합니다.  
   ▪︎ 어두운 곳에서 조용히 움직이며, 사람의 눈을 피해 살아가는 모습이 비밀스러움과 연결됩니다.  

- 새
  ▪︎예민함을 상징합니다.  
  ▪︎ 날카로운 시각과 청각으로 주변 변화를 빠르게 감지하는 특성이 경계심이나 민첩함을 의미합니다.  

2) 생태계에서의 관계

실제 자연에서 쥐와 새는 포식자-피식자 관계나 경쟁 관계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  맹금류(독수리, 올빼미 등) : 쥐를 사냥하는 대표적인 포식자입니다.  

  - 참새, 까치 등 : 쥐와 먹이(곡식)나 서식지를 두고 경쟁하기도 합니다.  

  - 그러나 속담에서는 이러한 생태적 관계보다는 상징적 대비에 초점을 맞춥니다.

3) 문학적 활용 차원에서의 관계

  - 동물의 특성을 활용해 생동감을 주는 표현으로, 이야기에 긴장감을 더합니다.  
  ▪︎ 예컨대 소설에서 "쥐도 새도 모르게 사라진 인물" 이란 표현은 독자에게 강한 호기심 유발합니다.

  - 동양 문화에서 쥐와 새는 각각 음양(陰陽)의 상징으로 해석되기도 합니다.  
   ▪︎ 쥐(陰): 어둠, 은신 / 새(陽): 빛, 경계

  - 결국 쥐와 새는 속담에서 '은밀함 대 예민함'이라는 대조적 특성으로 결합되어, '완벽한 비밀'을 드러내는 도구로 사용됩니다. 이는 한국어의 풍부한 비유적 표현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입니다.

3. 맺는말

쥐와 새가 등장하는 또 다른 속담으로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아무리 조심해도 말이란 새어 나가게 마련이어서 비밀이 없다는 뜻입니다.

낮에는 새가 분주히 활동하고, 밤에는 쥐가 분주히 활동하는 것을 보고 이런 속담이 생겼을 겁니다.

그런데 ‘쥐도 새도 모른다’라고 했으니, 밤에는 쥐가 듣지 못하게 조심하고 낮에는 새가 듣지 못하게 조심한다는 뜻입니다. ‘아무도 전혀 알 수 없다’, ‘은밀하고 신속하다’라는 뜻입니다.

정리하면  '쥐도 새도 모른다'는 이 속담은 어떤 일이 아무 흔적 없이 조용히 벌어지거나, 아무도 모르게 은말하게 사라지는 상황을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특히 범죄, 암살, 몰래 진행되는 계획 같은 부정적인 상황에서 많이 쓰이는 표현입니다.

요즘같이 과학기술이 발달하고 투명화된 사회에서도 쥐도 새도 모르게 진행되는 일들이 적지 않다는 것은 또 하나의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습니다.


<참고1> 예문을 통한 이해

"그는 쥐도 새도 모르게 사라졌다."
→ 사람들이 그의 행방을 전혀 알지 못한 채 흔적 없이 사라졌다는 의미입니다.

"비밀 정보가 쥐도 새도 모르게 빠져나갔다."
→ 아무도 눈치채지 못하는 사이에 정보가 유출되었다는 뜻입니다.

"그는 쥐도 새도 모르게 해치워야 한다."
→ 흔적 없이 제거해야 한다는 의미로, 영화나 드라마에서 자주 등장하는 표현입니다.

이처럼 비밀스럽게 일이 처리되는 상황을 강조하는 표현으로 활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