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의 비밀 : 연구현황 및 전망

기적 소리 2025. 7. 11. 06:34
반응형

 

 
 
브라이언 캐손 캐나다 브랜던대 교수 연구팀은 꿀벌부채명나방(Galleria mellonella)의 애벌레인 ‘왁스웜’에 주목했다. 왁스웜은 세계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는 플라스틱인 폴리에틸렌(PE)을 섭취하고 이를 짧은 시간 내에 분해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선 약 2000마리의 왁스웜이 0.5g 무게의 폴리에틸렌 비닐봉지 한 장을 24시간 이내에 분해할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동아일보 250711]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는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잠재적인 열쇠로 주목받고 있는 흥미로운 연구 분야입니다. 이 애벌레들의 '비밀'은 바로 특정 곤충의 소화 기관에 있는 미생물이나 효소가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플라스틱을 섭취하고 체내에서 분해해 지방으로 저장하는 꿀벌부채명나방 애벌레. 사진 출처 위키미디어

주요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와 그 비밀

밀웜 (갈색거저리 유충, Mealworm)

 

■ 플라스틱 종류: 주로 폴리스티렌(Polystyrene)을 분해하는 능력이 확인되었습니다. 스티로폼의 주성분입니다.

■ 비밀: 밀웜 자체보다는 밀웜의 장 속에 서식하는 특정 박테리아(미생물)가 플라스티 분해 효소를 생산하여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 박테리아는 플라스틱을 먹고 에너지를 얻거나 탄소원을 활용하여 성장합니다.

■ 최근 연구: 밀웜이 폴리스티렌을 먹고 자라도 해로운 물질이 축적되지 않으며, 다른 먹이를 먹은 밀웜과 건강상 차이가 없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이는 플라스틱을 먹은 밀웜이 가축 사료로도 활용될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슈퍼웜 (아메리카왕거저리 유충, Superworm)

■ 플라스틱 종류: 밀웜과 유사하게 폴리스티렌을 먹고 분해할 수 있음이 호주 퀸즐랜드 대학 연구팀에 의해 밝혀졌습니다.

■ 비밀: 슈퍼웜 역시 장내 박테리아 효소의 도움으로 폴리스티렌을 분해하고, 심지어 이로부터 에너지를 얻어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연구팀은 장내 미생물의 유전체 분석을 통해 플라스틱과 그 부산물을 분해할 수 있는 여러 효소를 찾아냈습니다. 슈퍼웜을 '미니 재활용 공장'에 비유하기도 합니다.

꿀벌부채명나방 애벌레 (Waxworm)

■ 플라스틱 종류: 주로 비닐봉지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을 분해하는 능력이 확인되었습니다.

■ 비밀: 이 애벌레는 꿀벌집의 주성분인 왁스를 분해하는 능력이 있는데, 왁스의 화학 구조가 폴리에틸렌과 유사하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연구가 진행되었습니다.

■최근 연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류충민 박사 연구팀은 꿀벌부채명나방의 침과 장에서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효소 '사이토크롬 P450'을 발견했습니다. 이 효소가 폴리에틸렌을 산화시켜 분해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효모를 이용해 이 효소를 대량 배양하는 데도 성공했습니다. 이는 곤충 유래 효소를 활용한 폐플라스틱 처리의 실용화 가능성을 높이는 중요한 발견입니다.

궁극적인 목표와 미래 전망

이러한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는 애벌레 자체를 이용해 플라스틱 쓰레기를 직접 처리하는 것보다는, 애벌레의 장내 미생물이나 효소가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메커니즘을 밝혀내고, 이를 대량 생산하여 산업적으로 플라스틱 재활용에 적용하는 것입니다.

■효소 기반 분해

애벌레에서 발견된 플라스틱 분해 효소를 대량 생산하여 플라스틱 재활용 공정에서 활용하면, 기존의 물리적/화학적 재활용 방식보다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인 플라스틱 분해가 가능해질 수 있습니다.

■ 새로운 바이오플라스틱 개발

플라스틱을 분해한 물질을 이용하여 바이오플라스틱과 같은 고부가가치 화학물질을 생산하는 연구도 진행 중입니다.

마무리하며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의 비밀은 지구의 심각한 플라스틱 오염 문제에 대한 친환경적인 해법을 제시할 수 있는 중요한 과학적 진보입니다.

아직 상용화까지는 많은 연구와 시간이 필요하지만, 이 분야의 발전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큰 희망을 안겨주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