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가지·애호박 혈당지수, 당뇨와의 관계 : 영양성분 비교교
기적 소리
2025. 7. 7. 14:02
반응형
가지와 애호박은 모두 혈당지수가 낮은 채소로, 당뇨병 환자에게 비교적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는 식품입니다. 아래에 각각의 혈당지수(GI)와 당뇨와의 관계를 정리해드립니다.

1. 가지 (Eggplant)
■ 혈당지수(GI): 약 15~20 (낮음)
■ 당뇨와의 관계:
- 수용성 식이섬유(펙틴)와 폴리페놀 풍부 → 혈당 상승 억제
- 항산화 성분(나스닌, 안토시아닌) 포함 → 인슐린 저항성 개선 가능성
- 칼로리도 낮아 체중 관리에 도움
2. 애호박 (Korean Zucchini)
■ 혈당지수(GI): 약 15~25 (낮음)
■ 당뇨와의 관계:
- 수분 함량이 높고 섬유질 풍부 → 소화 흡수 느리게 하여 혈당 급상승 방지
- 칼륨이 풍부해 나트륨 배출 → 고혈압 예방과 연계
- 비타민 C 등 항산화물질 포함 → 염증 감소 및 대사 조절에 긍정적

요약 비교
식품
|
혈당지수(GI)
|
당뇨에 미치는 영향
|
가지
|
15~20
|
혈당 조절 도움, 항산화 효과
|
애호박
|
15~25
|
포만감↑, 혈당 급등 억제, 항염 작용
|
섭취 시 주의사항
- 튀김/볶음보다는 찌거나 구운 조리법이 더 좋습니다 (기름 사용 줄이기).
- 양념(특히 설탕, 간장 등) 많이 넣으면 GI 상승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
- 당뇨 환자라도 전체 식단 내 탄수화물 균형 고려 필요.

<참고> 가지 vs 애호박 영양성분 비교 (100g 기준)
당뇨 관리에서 중요한 탄수화물, 식이섬유, 칼로리 등을 중심으로 비교합니다.
항목
|
가지 (가지나물, 생것)
|
애호박 (생것 기준)
|
칼로리
|
25 kcal
|
18 kcal
|
탄수화물
|
5.9 g
|
3.5 g
|
당류
|
3.0 g
|
2.1 g
|
식이섬유
|
3.0 g
|
1.1 g
|
단백질
|
1.0 g
|
1.2 g
|
지방
|
0.2 g
|
0.2 g
|
칼륨
|
230 mg
|
260 mg
|
비타민 C
|
2.2 mg
|
21 mg
|
나트륨
|
2 mg
|
1 mg
|
※ 당뇨 측면에서의 의미
- 칼로리·탄수화물 낮음: 혈당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음
- 식이섬유: 가지가 더 많아 혈당 상승 억제에 유리
- 칼륨: 둘 다 풍부해 고혈압 관리에 도움
- 비타민 C: 애호박이 가지보다 훨씬 풍부 (항산화·면역 지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