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판본과 완파본 비교 분석 : 조선시대 고서판본 두유형

경판본(京板本) 개요
■ 정의: 조선 후기 서울(한양)에서 간행된 목판본 소설.
■ 명칭 유래: ‘경(京)’은 서울을 의미하며, 중앙 관청이나 서울의 서원·서점에서 간행되었음.
■ 특징:
○ 문어체 중심: 한문투가 강하며 정제된 문장 사용.
○ 유교적 가치 강조: 권선징악, 충효 등의 교훈적 메시지.
○ 인물 성격 정형화: 도덕적 이상형으로 묘사.
○ 간결한 서사: 비교적 짧고 단순한 구성.
■독 자층: 양반 계층, 지식인 중심.
■ 대표 작품: 경판 춘향전, 경판 심청전 등.
완판본(完板本) 개요
■ 정의: 전라도 전주(완산) 지역에서 간행된 목판본 소설.
■ 명칭 유래: ‘완(完)’은 전주의 옛 지명인 완산(完山)에서 유래.
■ 특징:
○ 구어체·방언 사용: 생생한 입말 표현, 민중의 언어 반영.
○ 해학과 풍자 강조: 현실에 대한 비판과 유머가 풍부.
○ 인물 묘사 현실적: 인간적이고 감정적인 면 부각.
○분량이 많고 묘사 풍부: 다양한 사건과 세부적 상황 묘사.
■ 독자층: 일반 민중, 상인·서민 계층.
■대표 작품: 완판 춘향전, 완판 흥보전, 완판 심청전 등

완판본 홍길동전
경판본 vs 완판본 비교
구분
|
경판본 (서울판)
|
완판본 (전주 완판본)
|
지역
|
서울(경기 감영, 즉 중앙)에서 간행
|
전라도 전주(완산, 지역 향촌 중심)에서 간행
|
간행 시기
|
보통 18세기 말~19세기 초
|
주로 19세기 중반~후반
|
언어 특성
|
문어체 중심, 한문투가 강함
|
구어체·방언 사용이 많음
|
서술 방식
|
서사적이고 교훈적, 유교적 가치관 반영
|
생동감 있는 묘사, 대중적 감성 강조
|
등장인물
|
인물 성격이 정형적, 이상적 인물 강조
|
인간적이고 현실적 인물 묘사
|
분량
|
상대적으로 간결
|
상대적으로 분량이 많고 세부 묘사 풍부
|
내용 특징
|
권선징악 중심, 교훈적 결말 강조
|
해학, 풍자, 감정 묘사 강조, 대중성 지향
|
대표 작품
|
경판 춘향전, 경판 심청전 등
|
완판 춘향전, 완판 흥보전, 완판 심청전 등
|
※ 해설 요약
- 경판본은 조선 후기 서울 등 중앙에서 간행된 것으로, 유교 이념과 교훈을 강조하고 문어체를 많이 사용하여 지식인 계층을 대상으로 했습니다.
- 완판본은 전주에서 간행된 지방 민중 중심의 판본으로, 입말체와 방언, 해학과 풍자가 많아 민중의 정서와 흥미를 잘 반영합니다.
마무리하며
경판본과 완판본은 조선 후기 고전소설의 양대 축으로, 각각 중앙과 지방, 지식인과 민중의 문화적 정서를 반영합니다.
경판본이 유교적 교훈과 문어체 중심의 정제된 문학이라면, 완판본은 해학과 구어체를 통해 현실적이고 생동감 있는 민중 문화를 담아냅니다.
두 판본의 차이는 단순한 지역적 차원을 넘어, 조선 시대 독서 문화의 다양성과 사회 계층 간의 문화적 거리까지 보여주는 중요한 문학사적 자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