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지방선거(26년 6월) 출마 고려시 준비할 사항
기적 소리
2025. 6. 30. 16:17
728x90
반응형
내년 지방선거(2026년 6월 예정)에 출마를 고려하고 있다면, 지금(2025년 중반)은 본격적인 준비를 시작해야 할 시기입니다. 아래에 정치 신인 또는 현역 정치인 모두에게 공통적으로 중요한 준비 사항들을 분야별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출마 전략 수립
- 출마 지역 확정: 고향, 연고지, 기반 인맥 등을 고려해 선거구 결정
- 직위 선택: 기초의원, 광역의원, 시장·군수 등 어떤 직에 출마할지 결정
- 경쟁자 분석: 현역 의원, 유력 인사들 조사 및 SWOT 분석
2. 정당 및 조직 연계
- 정당 공천 가능성 파악: 주요 정당의 공천 기준, 내부 경쟁자 확인
- 정당 가입 및 활동 강화: 당원 가입, 지역당 협의회 활동, 주요 당 행사 참석
- 무소속 고려 시: 중립적 이미지, 명확한 메시지 필요
3. 후보자 자격 요건 확인
- 피선거권 요건 충족 여부(연령, 형사 처벌 이력 등)
- 기초자치단체장/의원 출마 기준: 주민등록지, 거주 요건 등 사전 점검
4. 브랜드 및 메시지 개발
- 핵심 슬로건과 공약 초안 수립
- 지역 주민이 공감할 수 있는 생활 밀착형 의제 선정
- 개인 브랜드 이미지(청렴, 전문가, 소통가 등) 확립
5. 지역 활동 및 인지도 구축
- 봉사활동, 마을 행사, 시민단체 연계 활동
- 지역 민원 해결, 지역 신문·SNS에 이름 알리기
- 주민 간담회·포럼 개최 등 정치 아닌 ‘생활 정치’ 접근
6. 조직 및 인력 구성
- 선거 기획자(총괄), 회계책임자, 홍보 담당자 등 핵심 팀 구축
- 지지자 명단 관리, 지역 조직원 발굴
- 자원봉사자 모집 및 육성
7. 자금 및 회계 준비
- 선거자금 모금 계획 수립
- 예비후보 등록 전 후원회 설립 가능 여부 검토
- 공직선거법상 회계 투명성 확보(선관위 교육 수강 추천)
8. 온라인 기반 홍보
- 개인 홈페이지, SNS(인스타, 페이스북, 유튜브 등) 개설
- 정책 콘텐츠 정기 업로드, 온라인 팬덤 구축
- ‘정치인답지 않은’ 일상 콘텐츠로 접근성 확보
9. 예비후보 등록 대비
- 2025년 말~2026년 초 예비후보 등록 가능
- 등록에 필요한 서류 미리 준비 (이력서, 사진, 주민등록 등본 등)
10. 법률 및 선거 전략 교육
- 공직선거법 교육 이수 (선관위 주관)
- 표밭 전략, 갈등관리, 언론대응 훈련 병행
- 필요시 정치 컨설턴트와 조기 협업

지금(2025년 하반기)은?
- “정치인은 출마 1년 전부터 결정된다”는 말처럼, 지금은 준비가 아니라 실행의 시기입니다.
- “무엇을 할지”보다 “누가 나를 기억하게 할 것인지”에 초점을 두고 행동해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