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새만금 수상태양광발전 사업, 세계 최대 규모 사업 6년째 표류중 : 원인과 대책
기적 소리
2025. 6. 30. 07:18
반응형
새만금에서 추진 중인 1.2GW급 태양광 발전사업이 6년째 제자리걸음을 반복하면서, 사업의 핵심 기반시설 구축을 맡은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의 무책임한 태도와 업무 미이행이 사업 차질의 핵심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전북일보 250628]
|
6년째 표류 중인 새만금 수상태양광 발전사업의 최근 상황입니다.

사업 정체의 핵심
1. 2018년 출범했지만, 핵심 인프라 구축 미진
- 2018년 10월 한수원과 새만금개발청·산업부가 1.2 GW 규모 수상태양광 사업을 위해 협약을 체결했으나, 이후 2025년 현재까지 송전선·변전소 등 전력 인프라에 대한 분담 합의도 이뤄지지 않았고, 산업부의 공사계획 인가도 받지 못한 상태입니다
2. 실무 회의 체계 부재와 책임 회피 논란
- 회의록 작성·의사결정 방식 등 기본적인 실무 체계가 마련되지 않았고, 특정 인물의 독단적인 회의 진행과 사전 제안 묵살 사례가 반복되고 있습니다.
- 핵심 책임자의 공석, 전담 인력·예산 부족 등 한수원의 역량 부족이 지속적 사업 지연의 주된 요인으로 지적됩니다 .
3. 민간 사업자와 구조적 갈등
- 민간 주도 시행자들은 “사업 지분 및 보증의 상당 부분이 현대글로벌에 몰리고, 그 책임마저 떠넘겨진다”며 ‘현대글로벌을 위한 사업’이라는 비판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 특히 ‘제3자 역무’ 조항 때문에 민간 측이 현대글로벌 몫까지 책임을 져야 하는 구조적 불합리함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4. 상징 사업의 미래 불투명
- 이 사업은 문재인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 핵심으로 기획됐지만, 대형 국책사업이 실패로 귀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민간 기업 및 지역사회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부유식 수상태양광 전경(제공=새만금개발청)
현 시점 의미와 향후 과제
- 공공의 의지·주관 역량 재점검 필요: 한수원과 정부의 실질적인 추진 의지, 조직 역량 강화, 실무 회의 구조 정비가 시급합니다.
- 구조적 조건 재조정 요구: 특히 ‘제3자 역무’ 조항 등 민간 참여 조건을 합리적으로 재설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 사업 진행 로드맵 및 문서화: 명확한 타임라인과 가시적인 책임 소재를 문서로 제시해 민간과 정부의 신뢰 회복이 필요합니다.
정리 및 평가
항목
|
현황
|
과제
|
인프라 구축
|
협약은 했지만 분담·인가 지연
|
분담 방식 합의 및 인가 조속 추진
|
주관 기관 역량
|
회의 체계·전담 인력 부족
|
조직·예산·책임자 보강
|
민간과의 협업
|
책임 전가구조, 보증 부담 과중
|
조항 재조정 및 공정 구조 마련
|
상징성
|
국민 눈높이에선 '실패 위기'
|
전면 재점검 및 재설계 필요
|
마무리하며
이처럼 6년째 제자리걸음을 걷고 있는 이 사업은, 계획 단계에서부터 협업·책임·인프라 측면에서 다수의 중대한 미비점을 드러냅니다.
특히 사업 조건과 참여 구조의 불합리성이 민간의 협력 의지를 꺾고 있어, 정부와 한수원 중심으로 시급한 구조 재편과 실행력 강화를 위한 근본적 변화가 요구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