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이재명 정부 국가 연구개발(R&D)예산 구조 개편 추진
기적 소리
2025. 6. 29. 23:57
728x90
반응형
이재명 정부는 6월 29일 기준, 국가 연구개발(R&D) 예산의 전 주기(편성·심의·집행)에 걸친 구조적 개편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핵심 추진 내용
1. 과학기술 거버넌스 권한 강화
- 기획재정부 중심의 R&D 전략 대신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와 과학기술혁신본부에 예산 지출한도를 포함한 결정권을 전면 부여하려는 움직임입니다 .
- 그간 과기자문회의의 권한은 기재부가 예산을 최종 조정함으로써 사실상 유명무실했는데, 이를 바로잡겠다는 의지입니다.
2. 심의 기간 연장
- 종전처럼 6월 30일에 마무리하는 심의를 8월까지로 연장, 정부 출범 이후 국정 기조를 충분히 반영할 시간을 확보합니다.
3. 법제화 추진
- 국가 재정에서 R&D에 일정 비중(예: 총지출 대비 5%)을 확보하도록 하는 과학기술기본법, 국가재정법 개정안이 국회에 제출된 상태입니다 .
4. 예산 규모 방향
- 과거 윤석열 정부에서 감소했던 R&D 예산(2023년 31.3조→2024년 26.5조)을 반영해, 2025년(29.7조)과 2026년 예산은 3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됩니다.

배경과 의의
- 연속성 있는 R&D 투자: 윤석열 정부의 급격한 삭감(약 15%)로 인해 연구 생태계가 크게 흔들렸으며, 이를 회복하려는 강한 의지가 반영된 조치입니다 .
- 과학기술 중심 국정 철학 반영: 이재명 대통령은 후보 시절 R&D 투자 확대와 기초연구·인재 지원 강화를 공약으로 내세워 왔습니다.
- 기재부 중심의 구조 개선: 기존엔 기재부가 심의 후 예산을 다시 조정하는 구조였으나, 이번 개편으로 과기자문회의와 과학기술혁신본부가 실질적인 컨트롤타워로 자리잡게 됩니다.
기대 효과
- 예산 안정성 확보: 연구현장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인 계획 투자 가능
- 국정 철학 반영 강화: 혁신성장, 미래 기술 육성 등 정부 정책 방향과의 정합성 제고
- 기초연구·인재양성 확대: 공약대로 AI·반도체·바이오·미래차 등 전략기술 지원 강화

향후 일정
- 6월 30일: 과기자문회의의 예산 심의 예정 → 하지만 보류 및 연장(8월) 논의 중
- 7~8월: 과기혁신본부가 국정 과제 검토 후 예산 보완, 재심의
- 국회 논의: 관련 법안(과기기본법·국가재정법 개정) 상반기 중 발의됨
마무리하며
이재명 정부는 R&D 예산을 정치적·재정적 영향에서 독립적으로 안정적으로 운용하고, 과학기술정책의 중심에 연구자·기술 전문가 의견을 두는 구조로 전환하려고 합니다.
이는 단순한 예산 증액을 넘어, 국가 R&D의 지속가능하고 책임 있는 재정운용 기반을 만드는 대수술로 평가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