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SNS 이용 불법추심 기승, 특징 및 사례·대처방법

기적 소리 2025. 6. 27. 07:12
728x90
반응형
 
최근 SNS를 이용한 불법추심이 기승을 부리고 있어 주의가 요구됩니다. 특히 대부업체들이 채무자의 휴대폰 연락처를 요구하고, 이를 이용해 채무자의 지인들에게 협박성 메시지나 모욕적인 영상을 보내는 등 악질적인 수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SNS 불법추심의 주요 특징 및 사례

  • 지인 협박 및 정보 유포: 대출 시 받은 채무자의 연락처를 이용해 가족, 친구, 직장 동료 등 지인들에게 채무 사실을 알리거나, 심지어 합성된 음란물이나 실제 성착취 영상을 유포하겠다는 협박을 가하는 사례가 많습니다. (n번방을 닮아가는 사채 추심)
  • 살인적인 고금리: 적은 금액을 빌려주고도 단기간에 원금의 수십 배에 달하는 이자를 요구하며 채무자를 압박합니다.
  • SNS 채무자 영상 공개: 채무자가 돈을 갚지 못하면 채무자의 영상을 찍어 SNS에 공개하거나 지인들에게 전송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허위정보 및 사칭: 검찰, 법원 등 사법 당국이나 법무사, 법원집행관 등을 사칭하여 채무자를 속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 반복적인 연락 및 방문: 정당한 사유 없이 반복적인 전화, 문자, 방문 등으로 공포심을 조성하고 사생활 및 업무에 지장을 줍니다. (특히 야간(저녁 9시 ~ 아침 8시) 연락은 불법)

SNS 불법추심 피해를 입었을 때 대처 방법

1. 즉시 대출 상담 중단: 주소록, 사진 파일, 앱 설치 등을 요구하는 경우 대출 상담을 즉시 중단해야 합니다.

2. 증거 자료 확보: 불법 추심 행위가 지속될 경우 통화 내용 녹취, 사진, 동영상 촬영 등을 통해 증거 자료를 확보해야 합니다.

3. 신고 및 상담:

  • 금융감독원 불법금융신고센터 (☎ 1332 → 3번): 불법 사금융, 불법 채권추심 등 관련 신고 및 상담이 가능합니다. 온라인 신고도 가능합니다.
  • 경찰 (☎ 112): 생명 또는 신체에 대한 위해를 입었을 경우 가까운 경찰서, 지구대, 파출소를 통해 신변보호 신청도 가능합니다.
  • 대한법률구조공단 (☎ 132): 채무자 대리인 무료 지원제도를 통해 고금리, 불법추심 피해자에게 법률 서비스를 무료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 디지털성범죄피해자 지원센터 (☎ 02-735-8994): 성착취 추심 등으로 유포된 피해 촬영물은 삭제 요청이 가능합니다.

4. 등록대부업체 확인: 대출 전 반드시 금융감독원 홈페이지 등을 통해 거래 상대방이 합법적인 등록업체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불법추심 관련 법적 처벌

현행법상 불법 채권 추심 행위는 엄하게 처벌됩니다. 예를 들어, 채무자 또는 그 가족 등 제3자에게 채무 사실을 알리거나 허위 사실을 유포하는 행위, 협박, 공포심 유발 행위 등은 징역 또는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특히 2024년 10월 시행 예정인 「개인채무자보호법」에 따라 금융회사별 과잉추심 방지 내부 기준이 마련되고, 불법 사금융 범죄자에 대한 최고 형량이 상향될 예정입니다.

SNS 불법추심은 개인의 삶을 심각하게 파괴하는 범죄 행위이므로, 피해를 입었거나 의심될 경우 주저하지 말고 위 기관들에 적극적으로 신고하고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