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갈근(칡뿌리) 혈당지수, 당뇨와의 관계 : 영양성분, 효능
기적 소리
2025. 6. 25. 14:35
728x90
반응형
아직 갈근(葛根, Kudzu root)의 정확한 혈당지수(GI)를 측정한 대규모 인체 연구는 드물지만, 주요 성분인 전분(starch)과 저항성전분(resistant starch)이 당뇨 관리에 미치는 영향은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갈근의 구성 성분
- 전분(starch): 전체의 약 60~70% 차지
- 저항성전분(resistant starch): 소장에서 소화되지 않고 대장까지 내려가 발효 → 혈당 상승 지연
- 이소플라본(isoflavones): 항산화·항염증 효과
GI(추정치) 및 혈당 반응
- 직접 측정된 GI 값은 없으나, 일반 전분성 뿌리채소류(감자 GI≈80, 고구마 GI≈70 등)보다는 저항성전분 함량 덕분에 다소 낮은 GI(약 50~60)로 추정
- 식사 중 갈근 전분을 포함하면 포도당 흡수 속도가 완만해져 식후 혈당 급등 억제 가능
당뇨 관리에서의 잠재적 이점
■ 공복 혈당 개선
쥐 실험에서 갈근 저항성전분 보충 시 공복 혈당(fasting blood glucose)이 유의하게 감소
■인슐린 감수성 향상
IRS-1/PI3K/Akt/Glut4 신호전달 경로 개선을 통해 인슐린 저항성 완화
■장내 미생물총 개선
프로바이오틱스(Bifidobacterium, Lactobacillus) 증가, 염증 지표 감소
■섭취 시 주의사항
갈근 추출물(보충제) 형태로 과다 섭취할 경우 간독성 우려 보고 사례 존재
혈당 강하제 복용 중이라면 혈당 저하 과다 위험 → 의사 상담 권장
마무리하며
- 갈근은 전분 중 일부가 저항성전분으로 작용해 GI를 다소 낮추고, 당뇨 환자의 공복 혈당 개선·인슐린 감수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다만, 정식 GI 값 자료가 부족하고 보충제 형태의 부작용 가능성이 있으므로, 일상식으로 소량 섭취하거나 의료진 상담 후 보충제를 활용하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참고> 갈근 영양성분과 효능
갈근의 주요 영양성분 (100g 기준, 생뿌리 기준)
성분
|
함량 (대략)
|
특징
|
탄수화물
|
80g 내외 (전분 위주)
|
고탄수화물, 식이섬유 포함
|
식이섬유
|
2~4g
|
장 건강에 도움
|
단백질
|
1~2g
|
소량
|
지방
|
0.1g 이하
|
거의 없음
|
칼륨
|
약 150~250mg
|
이뇨 및 혈압 조절에 기여
|
칼슘
|
10~20mg
|
뼈 건강에 일부 도움
|
플라보노이드류
|
다량
|
다이드제인, 푸에라린 등 포함
|
저항성 전분
|
함유
|
혈당 상승 억제에 도움
|
갈근의 주요 효능
효능 구분
|
설명
|
🔹 혈당 조절
|
저항성 전분과 이소플라본 성분이 인슐린 저항성 완화 및 식후 혈당 상승 억제에 도움
|
🔹 혈압 안정
|
혈관 이완 효과 있는 플라보노이드(예: 다이드제인) 함유 → 고혈압 개선에 기여 가능
|
🔹 간 보호 작용
|
항산화 성분이 간세포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에 도움 (동물실험 기반)
|
🔹 숙취 해소
|
해독 촉진 및 알코올 분해 효소 활성화 작용이 있어 전통적으로 숙취 해소에 사용됨
|
🔹 갱년기 증상 완화
|
식물성 여성호르몬 역할하는 이소플라본 함유 → 안면홍조, 불면 개선 등
|
🔹 심혈관 보호
|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 혈관 내 염증 억제 및 콜레스테롤 개선 가능성
|
🔹 장 건강
|
식이섬유와 저항성 전분이 장내 유익균 증식 및 배변 활동에 도움
|
※ 섭취 시 주의사항
- 생갈근은 껍질 제거 후 조리해 먹는 것이 안전하며, 가루·차·보충제 형태로도 섭취 가능
- 약물(특히 혈압약, 혈당약) 복용 중인 사람은 상호작용 가능성 있으므로 전문의와 상담 권장
- 간질환자는 갈근 보충제 과용 시 간 효소 수치 상승 등의 사례 보고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