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진우 “김민석 총리 후보자, 현금 6억원 집에 쟁여놔” : 쟁점 및 전망
발언 주체 · 시점
국민의힘 주진우 의원은 6 월 19 일 밤 기자단 문자 메시지, 6 월 20 일 오전 라디오·언론 인터뷰를 통해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현금 6억 원을 집에 보관하며 써 왔고, 이를 매년 재산공개에서 누락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주장 근거
△ 결혼 · 빙부상 경조사금 △ 두 차례 출판기념회 축하금 △ 강연료 등으로 모인 현금이 최소 6억원에 달한다는 점을 김 후보자가 ‘뒤늦게 시인했다’는 것이 주 의원 설명입니다.
주 의원은 “공직자윤리법상 현금·예금도 신고 대상인데, 고의 누락이면 낙마 사유”라고 지적했습니다.
김민석 측 입장(현재까지)
“세비와 기타 소득으로 생활비·추징금(6억2천만 원)·기부금(2억 원)을 감당했고, 남은 부분은 헌금으로 냈다”는 원론적 해명만 내놓고 있으며, 구체적 현금 흐름 자료는 아직 제출하지 않았습니다.

정치권 파장
◇ 국민의힘: “대통령 부실검증, 사과하고 지명 철회하라.”
◇ 더불어민주당: “주 의원 본인·가족 재산도 불투명하다”며 역공.
인사청문회(6 월 24–25 일 예정)는 ‘현금 6억’ 출처, 재산신고 누락, ‘아들 유학비’ 등 자금 의혹이 최대 쟁점이 될 전망입니다.
주요 쟁점 및 전망
1. 재산공개 의무 위반 여부
현금·예금 1,000만 원 초과 보유 시 매년 공개해야 함.
미신고가 사실이면 공직자윤리법 및 형사처벌(1년 이하 징역·1천만 원 이하 벌금) 가능
2. 현금 출처·용처 검증
경조사·출판기념회 축하금은 정치자금법·증여세 논란 동시 발생
정치자금법 위반 소지가 확인되면 검찰 수사로 확대될 수 있음
3. 총리 인준 전망
여권 지명 철회 압박 vs. 야권 ‘방어’ 구도
청문회 증빙자료 제출 마감(6 월 21 일)을 앞두고 추가 해명 없으면 인준 표결에도 타격
4. 향후 시나리오
충분한 증빙 자료 제출: 의혹 일부 차단 가능하지만 기부·경조사 세부 내역 공개가 필수.
자료 미제출 / 불충분: 여권 ‘낙마’ 기류 가속 → 대통령 지명 철회 혹은 자진 사퇴 가능성.
정치권 공방 장기화: 임시국회 일정 지연·거부권 행사 등 후폭풍 예고.
5. 앞으로 무엇을 지켜봐야 하나?
■ 검찰 고발 여부
국민의힘이 실제 고발장을 제출하면 수사 개시 속도가 관건
■ 청문회 증인 채택
경조사·출판회 참석 기업인·후원자 실명 증인 채택 시 파급력↑
■ 대통령실 대응
지명 철회 or 버티기 여부에 따라 정국 주도권 판가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