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란계협회, 계란값 폭등 원인 '4번 계란' 공급 감소: 4번 계란이란?
최근 계란 가격이 급등하면서 소비자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대한산란계협회는 계란값 폭등의 주요 원인으로 '4번 계란'의 공급 감소를 지목하고 있습니다.
'4번 계란'이란?
'4번 계란'은 계란 껍데기에 찍힌 난각번호의 마지막 숫자가 '4'인 계란을 말합니다. 이 난각번호의 마지막 숫자는 산란계의 사육 환경을 나타내는데, 각 숫자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 1번: 자연 방사 (방목장)
* 2번: 축사 내 방사 (평사)
* 3번: 개선된 케이지
* 4번: 기존 케이지 (좁은 닭장)

즉, '4번 계란'은 가장 좁은 공간인 기존 케이지에서 사육된 닭이 낳은 계란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4번 계란은 전체 계란 공급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가격이 저렴하여 서민들이 주로 구매하는 계란입니다.
산란계협회의 주장 요지
산란계협회는 계란값 상승의 원인이 농가의 담합이 아니라, 정부의 동물 복지 정책으로 인한 '4번 계란' 공급 감소에 있다고 주장합니다.
■ 사육 면적 확대 의무화: 정부는 동물 복지 향상과 질병 확산 예방을 위해 산란계 사육 면적 기준을 기존 0.05㎡/수에서 0.075㎡/수로 확대하도록 규제하고 있습니다. 2018년 이후 신축 농가에는 이미 적용되었고, 기존 농가들도 올해 9월까지 이 기준을 맞추도록 했으나 최근 2027년 9월로 유예되었습니다.
■ 생산량 감소 및 비용 증가: 사육 면적이 넓어지면 단위 면적당 사육 가능한 닭의 수가 약 30% 줄어듭니다. 이는 곧 생산량 감소로 이어지고, 농가는 줄어든 생산량으로 인해 수익이 감소하며 생산 비용은 증가하는 구조가 됩니다.
■ 정부 정책의 책임 회피 비판: 산란계협회는 정부가 생산량 감소를 유발하는 정책을 시행해 놓고, 계란 가격 상승의 책임을 농가의 담합으로 돌리고 있다고 비판합니다. 또한, 농가가 계란 한 개를 팔아 남기는 수익이 미미하며, 오히려 일부 소매점의 폭리가 가격 상승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합니다.
■ 국제적 사례 언급: 협회는 국제적인 사례를 언급하며,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경우 강도 높은 규제 시행 이후 계란값이 50% 이상 올랐다고 지적하며 정부의 현재 방향이 고물가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를 표합니다.

산란계협회, 계란값 폭등 원인 '4번 계란' 공급 감소: 4번 계란이란?
반면, 농림축산식품부 등 정부 관계자는 최근 계란 가격 상승이 산란계협회가 산지 고시가격을 과도하게 높게 책정한 영향이 크다고 보고 있습니다. 또한, 공정거래위원회는 계란값 상승에 담합이 없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산란계협회 본부 등에 현장 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계란값 폭등의 원인을 두고 산란계협회와 정부의 입장이 엇갈리고 있는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