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만두 혈당지수, 당뇨와의 관계 : 영양성분

기적 소리 2025. 6. 17. 04:11
728x90
반응형
 
만두는 밀가루 기반의 피와 다양한 속재료(고기, 채소 등)로 구성된 음식으로, 혈당지수(GI)는 구성 재료와 조리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만두의 혈당지수(GI)

종류
예상 혈당지수 (GI)
설명
찐만두/군만두
65~75(중,높음)
피가 주로 정제된 밀가루로 되어 있어 혈당 상승을 촉진함
튀긴만두
75 이상 (높음)
지방과 탄수화물 조합 → 혈당과 중성지방 동시 상승 가능
통밀피 만두
60 이하 가능
통곡물이나 저탄수 재료 사용 시 낮아질 수 있음

정확한 수치는 없지만 일반적인 찐만두의 GI는 약 70 전후로 추정됩니다. 이는 흰빵(GI 70)과 유사한 수준입니다.

 

당뇨와의 관계

 
항목
설명
탄수화물 함량
밀가루피와 일부 전분성 채소(당면, 감자 등)가 포함되어 혈당을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음
단백질 보완
고기나 두부, 채소가 속재료로 들어갈 경우 혈당 상승 속도를 늦출 수 있음
튀긴 조리법
튀김류 만두는 지방과 열량이 많아 인슐린 저항성 증가에 불리
소량 섭취 팁
식이섬유나 단백질(나물, 계란 등)과 함께 먹으면 혈당 급등을 완화 가능

당뇨 환자를 위한 섭취 팁

  • 한 끼에 2~3개 이하로 제한 (특히 군만두·튀김만두는 피하기)
  • 채소반찬과 함께 섭취하여 포도당 흡수 속도 줄이기
  • **당면이 많은 만두(야끼만두, 왕만두 등)**는 피하거나 소량만
  • 가능하다면 통밀피, 두부피 또는 저탄수 만두로 대체

마무리하며

만두는 혈당지수가 중~높은 편으로, 당뇨 환자에게 주의가 필요한 식품입니다. 피와 속재료, 조리 방식에 따라 혈당 영향이 달라지므로 조리법을 가볍게 하고 섭취량을 조절하면 제한적으로 섭취 가능합니다. 특히 식사 전후 혈당을 체크하며 개인별 반응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참고> 만두 영양성분

만두의 영양성분은 속재료(고기, 야채, 당면 등)와 피(밀가루)의 비율, 조리 방식(찜, 굽기, 튀김)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인 고기찐만두(1개 약 50g 기준)의 평균적인 영양성분은 아래와 같습니다.

■ 일반 고기만두 (찐만두 기준, 1개당 50g 기준)

영양성분
평균 수치
비고
열량
90~100 kcal
피+속재료 모두 포함
탄수화물
10~12g
주로 밀가루 피에서 유래
단백질
3~4g
돼지고기, 두부, 당면 등에서
지방
3~5g
고기와 피에 함유
포화지방
1~1.5g
고기류로 인해 포함
나트륨
150~250mg
간장, 조미료, 소금 등
식이섬유
0.5~1g
채소류 포함 시 증가
당류
0.5~1g 이하
당분은 적음

■ 조리 방식에 따른 차이

조리 방식
열량 변화
특징
찐만두
기준치 유지
지방 사용 적고 담백
군만두
+20~30 kcal
기름 사용으로 열량 증가
튀김만두
+50 kcal 이상
지방·열량 급증, 혈당 영향도 큼

■ 시판 냉동만두 예시 (1개 기준, 약 40~50g)

브랜드 / 제품
열량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나트륨
비비고 왕교자
95kcal
9.5g
4g
4g
210mg
오뚜기 교자만두
100kcal
10g
3.8g
4.2g
220mg
풀무원 얇은피만두
85kcal
9g
3.5g
3.5g
180mg

※ 요약 정리

  • 칼로리: 1개당 약 90~100kcal
  • 탄수화물: 주로 밀가루피에서 나옴 (당뇨 주의)
  • 단백질/지방: 고기·두부 등 포함 시 균형적
  • 나트륨: 간이 되어 있어 당뇨+고혈압 환자에겐 조심 필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