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경찰 바디캠, 현장 대응력과 활동 투명성 제고 : 쟁점과 보완과제
기적 소리
2025. 6. 16. 06:03
반응형
경찰 바디캠(착용기록장치)은 ‘현장 대응력-강화’와 ‘경찰 활동의 투명성’이라는 두 축이 맞물리며 2025년부터 본격적인 전면 보급 단계로 진입했습니다.
2023년 개인정보보호법 개정과 경찰착용기록장치 운영규정 신설로 법적 기반이 정비되자, 정부는 단계적 예산 확보와 공개 경쟁입찰을 통해 2026년까지 일선 경찰관 대부분에게 바디캠을 지급한다는 목표를 확정했습니다.

1. 사업 추진 배경
- 증거 확보 및 인권 보호: 현장 폭력사건·공권력 남용 논란이 잦아지자 “영상으로 남기는 경찰 활동” 수요 급증.
- 법적 근거 마련: 2024년 9월부터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안이 시행, 같은 해 하위 규정으로 ‘경찰착용기록장치 운영 규정’이 제정돼 사용 요건·보관 기간·열람 절차 등이 명문화.
- 치안산업 육성: 2024 국제치안산업대전에서 바디캠 품평회를 개최, 국산-외산 장비 비교평가 및 국산화 로드맵 논의.
2. 법·제도·운영 지침
항목
|
주요 내용
|
근거
|
사용 요건
|
체포·구속, 범죄 수사, 위험 상황, 응급 구조 등
|
경찰착용기록장치 운영규정 §3
|
촬영 고지
|
LED·음향으로 현장 고지, 임의 편집·삭제 금지
|
운영규정 §4-6
|
보관 기간
|
30일 기본, 증거 필요 시 최대 180일
|
행안부 고시 · 동아일보 보도
|
개인정보
|
얼굴·음성 식별정보 자동 모자이크·변조 기능 도입 예정
|
PIPA 개정 外
|
증거능력
|
파일 해시값·체인오브커스터디(COC) 인증 필요
|
춘천지법 2023고합56 판례
|
3. 기대 효과
- 투명성 : 현장 공권력 행사 기록, 시민·경찰 상호 신뢰 증진.
- 증거력 향상 : 음성·영상·GPS가 합쳐진 ‘3-in-1’ 데이터로 증거 수집 효율화.
- 업무 부담 경감 : 허위 신고·악성 민원 대응, 보고서 자동 작성 기능(음성-텍스트).

4. 쟁점·보완 과제
- 프라이버시 침해 – 피촬영자 통지 범위·비동의 촬영 허용 한도.
- 증거 무결성 – 해시 불일치·편집 가능성, 법원 증거능력 인정 수준 강화 필요.
- 장비 표준화 – 수입 장비·국산 장비 간 호환성, 주파수 인증·KC 마크 절차.
- 운영·인력 교육 – 촬영 개시 판단 기준, 비상 전원 관리, 2차 가해 방지 교육.
- 예산 지속성 – 저장비·교체비(5년 수명 주기) 확보, 지방청별 편차 문제.
5. 향후 전망
- 2025-26년 실전 투입 후 ‘촬영 의무 범위 확대’(모든 대면 조치 시 자동 켜짐) 개정 논의 예상.
- AI 기반 실시간 음란·폭력 탐지, 번역 자막·자동 차폐 등 후속 SW 모듈 사업이 별도 발주될 가능성.
- 시민참여감시단·언론 공개 기준 등이 정비되면, 바디캠 영상의 공개범위·활용처가 넓어져 공적 기록물로 자리매김할 전망.
6. 마무리하며
바디캠 도입은 단순 장비 보급을 넘어 ‘경찰 활동과 시민의 신뢰 관계’를 재설계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초기에는 장비 표준화·보안성 검증 같은 시행착오가 불가피하지만, 법·제도 정비와 기술 고도화를 병행한다면 2026년 완전 보급 이후에는 현장 대응력과 인권 보호가 함께 강화되는 선순환이 기대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