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꿀벌이 사라지는 이유, “그 많던 꿀벌은 어디로 갔을까?”
기적 소리
2025. 6. 12. 14:56
반응형
“그 많던 꿀벌은 어디로 갔을까?”는 기후변화와 생태계 위기의 상징적인 질문입니다.
실제로 전 세계적으로 꿀벌 개체 수 감소 현상(‘꿀벌 실종 현상’, 군집붕괴현상(Collony Collapse Disorder, CCD))이 심각하게 관측되고 있으며, 그 원인과 영향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꿀벌이 사라지는 이유
원인
|
설명
|
살충제(네오니코티노이드계)
|
꿀벌의 신경계에 영향을 주어 방향 감각, 생존률을 떨어뜨림. 대표적으로 ‘이미다클로프리드’, ‘클로티아니딘’ 등
|
기후변화
|
꽃 피는 시기와 벌 활동 시기가 어긋남 → 수분 활동 차질. 가뭄·폭염·홍수도 벌 생존율 저하
|
병원체와 기생충
|
바로아 진드기(Varroa mite), 노제마병(Nosema) 등 벌통에 질병 유발
|
서식지 파괴
|
도시화·농경지 확대 → 야생 꿀벌의 둥지, 먹이원 감소
|
단일 작물 재배
|
벌이 다양한 영양소를 섭취할 수 없고, 한 철 지나면 먹이가 없어지는 문제 발생
|

꿀벌 감소가 초래하는 위기
분야
|
영향
|
식량안보
|
인간이 먹는 농작물의 70% 이상이 벌의 수분활동에 의존. 과일·채소 수확량 급감 가능
|
생물다양성 저하
|
꿀벌이 수분시키는 식물의 번식 저하 → 생태계의 식물 다양성 붕괴
|
경제적 피해
|
벌의 수분서비스 가치는 연간 약 **2,350억 달러(약 310조 원)**로 추정
|
벌꿀 생산 감소
|
꿀벌 개체 수 감소는 곧 양봉 산업에도 큰 타격을 줌
|
각국의 대응
국가
|
주요 대응
|
EU
|
2018년부터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 전면 금지
|
미국
|
'Pollinator Health Task Force' 운영, 민간 양봉업 지원
|
한국
|
2023년 제주에서 시작된 꿀벌 실종 → 농식품부 조사 및 꿀벌지킴이 사업 추진
|
국제기구(FAO 등)
|
생물다양성 보존 촉구, 친환경 농법 전환 권고
|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 살충제 사용 줄이기 (특히 가정 원예 시)
- 토종식물 심기, 도시 꿀벌 공원 조성
- 친환경 농산물 소비 (화학비료·농약 줄이는 농법 지지)
- 양봉업자 지원 정책 요구 등
마무리하며
꿀벌은 단순한 곤충이 아닌 생태계의 균형과 우리의 식탁을 지키는 중요한 생명체입니다.
그러나 기후변화, 살충제, 서식지 파괴 등의 복합적 요인으로 꿀벌의 개체 수는 전 세계적으로 급감하고 있으며 이는 곧 식량안보와 생물다양성에 심각한 위협을 초래합니다. 꿀벌의 실종은 자연이 보내는 경고입니다.
지금 우리가 행동하지 않는다면, 그 피해는 결국 인간에게 돌아올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