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견과류 혈당지수, 당뇨예방 효과 : 영양요소
기적 소리
2025. 6. 9. 07:40
728x90
반응형
견과류는 대부분 혈당지수가 낮고, 당뇨 예방 및 혈당 조절에 도움되는 식품군입니다. 아래에 대표적인 견과류의 혈당지수(GI)와 당뇨 관련 효능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 대표 견과류 혈당지수(GI)
견과류
|
혈당지수
|
주요 특징
|
땅콩
|
14
|
매우 낮음, 식이섬유와 불포화지방 풍부
|
아몬드
|
0~15
|
혈당 영향 거의 없음, 마그네슘 풍부
|
호두
|
15
|
오메가-3 지방산 풍부, 염증 억제
|
피스타치오
|
15
|
혈당 안정화에 도움, 항산화 성분 많음
|
캐슈넛
|
22
|
다소 높지만 여전히 저GI, 단백질 풍부
|
브라질너트
|
10~12
|
셀레늄 풍부, 항산화 및 면역력 강화
|
헤이즐넛
|
10
|
비타민E, 단일불포화지방산 풍부
|
마카다미아
|
10
|
고지방이지만 대부분 좋은 지방
|

■ 견과류의 당뇨 관련 효능
효능 항목
|
내용
|
혈당 상승 억제
|
저혈당지수(GI) 식품으로 식후 혈당 급등 방지
|
포만감 증가
|
단백질과 식이섬유가 과식 예방, 체중 관리에 도움
|
인슐린 민감도 개선
|
불포화지방산이 인슐린 저항성 완화
|
항산화 작용
|
비타민 E, 셀레늄, 폴리페놀 등이 염증과 산화 스트레스 완화
|
심혈관 보호
|
당뇨 합병증 예방에 중요한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
|
■ 섭취 시 유의사항
- 하루 권장량: 1줌(약 20~30g)
- 무염·무가당 제품 선택 필수
- 피넛버터, 가공 견과류는 주의 (첨가당, 지방)
- 알레르기 반응 여부 확인 필요

■ 대표 견과류 영양성분
(100g 기준, 생/무염 기준)
견과류는 고단백·고지방·풍부한 식이섬유를 갖춘 대표적인 건강식품입니다.
영양소
|
아몬드
|
호두
|
땅콩
|
피스타치오
|
캐슈넛
|
열량
|
579 kcal
|
654 kcal
|
567 kcal
|
562 kcal
|
553 kcal
|
탄수화물
|
22g
|
14g
|
16g
|
28g
|
30g
|
식이섬유
|
12g
|
7g
|
8g
|
10g
|
3g
|
단백질
|
21g
|
15g
|
25g
|
20g
|
18g
|
지방
|
50g
|
65g
|
49g
|
45g
|
44g
|
∟ 포화지방
|
3.7g
|
6.1g
|
6.8g
|
5.6g
|
7.8g
|
∟ 불포화지방
|
풍부
|
매우 풍부
|
풍부
|
풍부
|
풍부
|
칼슘
|
269mg
|
98mg
|
92mg
|
105mg
|
37mg
|
마그네슘
|
270mg
|
158mg
|
168mg
|
121mg
|
292mg
|
비타민 E
|
26mg
|
0.7mg
|
8mg
|
2.3mg
|
0.9mg
|
항산화 성분
|
폴리페놀, 비타민E
|
멜라토닌, 오메가3
|
레스베라트롤
|
카로티노이드
|
루테올린
|
※ 견과류의 주요 건강 기능 요약
- 아몬드: 비타민 E와 칼슘이 풍부해 피부, 뼈 건강에 좋음
- 호두: 오메가-3 풍부 → 뇌 건강과 항염 작용
- 땅콩: 단백질과 레스베라트롤로 심혈관 건강에 도움
- 피스타치오: 항산화·루테인 풍부 → 눈 건강, 혈당 안정화
- 캐슈넛: 철분과 마그네슘 풍부 → 빈혈 예방, 신경 안정
마무리하며
견과류는 혈당지수가 낮고 불포화지방, 단백질, 식이섬유, 각종 미네랄이 풍부해 당뇨병 예방과 혈당 조절에 효과적인 식품입니다.
특히 식후 혈당 상승을 억제하고 인슐린 민감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며, 심혈관 질환 예방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아몬드, 호두, 땅콩, 피스타치오 등 다양한 견과류를 하루 한 줌 정도 섭취하면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되며, 가급적 무염·무가공 제품을 선택해 자연 그대로의 영양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