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국내 해상풍력사업 현황 및 향후전망

기적 소리 2025. 5. 20. 01:37
728x90
반응형
 
2025년 5월 기준, 국내 해상풍력 산업은 정부의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에 따라 점진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으나, 여전히 여러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아래는 국내 해상풍력의 현황과 향후 전망에 대한 정리해 보았습니다.


국내 해상풍력 현황

1. 설치 및 개발 현황

  • 설치 용량: 2024년 말 기준, 국내 해상풍력 발전설비는 3개 단지에서 총 124.5MW 규모로 상업 운전 중입니다. 이는 2030년까지의 보급 목표인 12GW의 약 1%에 불과한 수준입니다.
2025년 5월 현재 상업운전 중인 해상풍력 발전단지(3㎿ 이상)는 제주 한림, 서남해 실증, 제주 탐라, 전남 영광, 행원, 누에섬 등 6곳이다. 이들의 발전용량을 모두 더해도 229.83㎿에 그친다.
이는 정부 목표치의 1.6% 수준이다. 착공에 돌입한 전남1단지와 낙월 등 사업의 발전용량을 합쳐도 정부의 2030년 보급 목표(14.3GW)의 5%에도 못 미친다.
[출처 : 아시아경제 2025.5.19]

 

 
  • 주요 단지: 제주 탐라(30MW), 서남권(60MW), 영광(34.5MW) 등에서 상업 운전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개발 허가 현황: 2023년까지 발전사업 허가를 받은 해상풍력 프로젝트는 총 83개, 27.1GW 규모이며, 이 중 약 58%인 15.7GW가 전라남도 지역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5월 19일 해상풍력 업계 등에 따르면 정부는 2022년 이후 전남1단지(96㎿), 완도금일 1단계(200㎿), 완도금일 2단계(400㎿), 신안우이(396㎿), 낙월(364.8㎿), 고창(76.2㎿), 안마 1단계(224㎿), 안마 2단계(308㎿), 태안(500㎿), 야월(104㎿) 등 총 10개 사업을 선정했다. 하지만 최근까지 착공까지 진행된 건 전남1단지와 낙월 두 곳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 : 아시아경제 2025.5.19]
 

2. 정책 및 제도 변화

  • 해상풍력특별법 제정: 2024년, 해상풍력 입지 선정과 인허가 절차를 정부 주도로 통합하는 '해상풍력특별법'이 통과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사업 예측 가능성과 행정 효율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공공주도 개발 지원: 산업통상자원부는 2022년부터 '공공주도 대규모 해상풍력 단지개발 지원사업'을 통해 수용성과 환경성이 우수한 단지 개발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향후 전망 및 과제

1. 기술 개발 및 산업 동향

  • 부유식 해상풍력: 수심 60m 이상 심해에 설치 가능한 부유식 해상풍력 기술이 주목받고 있으며, 국내 기업들도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 국산화 노력: 국내 기업들은 풍력터빈, 하부구조물, 해저케이블 등 핵심 부품의 국산화를 추진하며, 해상풍력 산업 생태계 구축에 힘쓰고 있습니다.

2. 주요 도전 과제

  • 인허가 절차 개선: 여러 부처에 걸친 복잡한 인허가 절차와 이해관계 조정의 어려움이 사업 지연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어, 제도 개선이 필요합니다.
  • 주민 수용성 확보: 어업권 등 지역 주민과의 갈등을 해소하고, 주민 참여형 사업 모델을 확대하여 수용성을 높이는 노력이 요구됩니다.
  • 공급망 및 인프라 확충: 대규모 해상풍력단지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항만, 전용선박, 계통 연계 등 관련 인프라와 공급망 구축이 필수적입니다.

마무리하며

국내 해상풍력 산업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으나, 정부의 정책 지원과 기업의 기술 개발 노력으로 점차 성장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향후 제도 개선과 사회적 수용성 확보를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이 기대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