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테슬라 제친 한국 전기차 , 아이오닉 5 / 아이오닉 6
기적 소리
2025. 4. 18. 21:57
현대차는 미국 시사주간지 ‘US 뉴스 앤드 월드 리포트’가 16일(현지시간) 발표한 ‘2025 최고의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 어워즈’ 3개 부문에서 수상했다고 18일 밝혔다.
아이오닉 5은 ‘최고의 전기 SUV’ 부문에 선정됐고 아이오닉 6는 ‘최고의 전기 승용차’에, 투싼 하이브리드는 ‘최고의 하이브리드 SUV’ 부문에 각각 이름을 올렸다. 특히 이 세 모델은 모두 지난해에도 같은 부문에서 2년 연속 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아이오닉 5와 아이오닉 6는 현대자동차의 전기차 전용 브랜드 ‘아이오닉(IONIQ)’에서 출시한 대표 모델로, 각각 SUV 스타일의 중형 크로스오버(아이오닉 5)와 패스트백 스타일의 세단(아이오닉 6)이다. 두 차량의 특징을 항목별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아이오닉 5 (IONIQ 5) |
항목
|
내용
|
출시일
|
2021년 2월 공개 (국내 기준)
|
차급
|
준중형 전기 SUV (Crossover)
|
플랫폼
|
E-GMP (현대 전기차 전용 플랫폼)
|
디자인
|
각진 미래형 외관, 파라메트릭 픽셀 라이트
|
주행거리
|
최대 약 458km (롱레인지, 2WD 기준)
|
배터리
|
58kWh(스탠다드) / 77.4kWh(롱레인지)
|
충전 성능
|
800V 초급속 충전 지원 (18분 내 10→80%)
|
실내 특징
|
평평한 플로어, 슬라이딩 콘솔, 리클라이닝 시트
|
기타 기능
|
V2L (차량에서 전기기기 충전 가능), OTA 업데이트 등
|

아이오닉 6 (IONIQ 6) |
항목
|
내용
|
출시일
|
2022년 7월 공개 (국내 기준)
|
차급
|
중형 전기 세단 (Fastback 스타일)
|
플랫폼
|
E-GMP 플랫폼
|
디자인
|
유선형 곡선 중심의 디자인, 공기저항계수 0.21
|
주행거리
|
최대 약 524km (롱레인지, 2WD 기준)
|
배터리
|
53kWh(스탠다드) / 77.4kWh(롱레인지)
|
충전 성능
|
800V 초급속 충전 (10→80% 약 18분)
|
실내 특징
|
앰비언트 라이트, 더블 스크린, 전동시트
|
기타 기능
|
디지털 사이드미러(옵션), 고속도로 자율주행 기능 등
|

공통장점 |
- E-GMP 플랫폼 기반으로 공간 효율과 성능 최적화
- 초급속 충전 (800V) 지원 → 짧은 충전시간
- V2L 기능 → 야외 활동에서 전기기기 사용 가능
- OTA 업데이트, 자율주행 보조 기능 탑재
<참고> 국내 시판가격 및 보조금
◆ 아이오닉 5 가격 (2025년형 기준)
트림
|
세제혜택 전 가격(천원)
|
세제혜택 후 가격(천원)
|
스탠다드 2WD
|
약 49,510
|
약 47,000
|
롱레인지 2WD
|
약 58,850
|
약 53,550
|
롱레인지 AWD
|
약 60,720
|
약 55,420
|
프레스티지 2WD
|
약 61,660
|
약 56,360
|
프레스티지 AWD
|
약 63,320
|
약 58,020
|
아이오닉 5 N
|
약 81,104
|
약 77,000
|
*세제혜택 후 가격은 개별소비세 인하 및 친환경차 세제혜택을 적용한 금액입니다. *옵션 추가 및 지역별 보조금에 따라 최종 구매 가격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아이오닉 6 가격 (2025년형 기준)
트림
|
세제혜택 전 가격(천원)
|
세제혜택 후 가격(천원)
|
스탠다드 2WD
|
약 49,450
|
약 46,950
|
롱레인지 2WD
|
약 55,400
|
약 52,596
|
롱레인지 AWD
|
약 57,870
|
약 54,941
|
프레스티지 2WD
|
약 64,620
|
약 61,350
|
프레스티지 AWD
|
약 67,090
|
약 63,695
|
*세제혜택 후 가격은 개별소비세 인하 및 친환경차 세제혜택을 적용한 금액입니다. *옵션 추가 및 지역별 보조금에 따라 최종 구매 가격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전기차 보조금 정보
2025년 4월 기준, 전기차 구매 시 정부 및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보조금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고 보조금: 최대 약 690만 원
- 지자체 보조금: 지역에 따라 상이하며, 예를 들어 서울시는 약 54만 원, 제주도는 약 362만 원까지 지원됩니다.
*보조금은 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될 수 있으므로, 구매 전 해당 지자체의 최신 정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